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한국도 금리인상 불가피, 문제는 타이밍… 단기충격 줄여야" [인플레發 긴축 빨라지나]

파이낸셜뉴스 2021.05.11 18:40 댓글 0

국내외 물가상승 전문가 진단
유동성 증가 막아야 인플레 압력 극복
적기의 금리인상, 장기적으론 긍정적
공급요인 하반기엔 둔화될 수 있지만
경기회복 빨라지면 물가 다시 오를 것
넘치는 시중자금, 산업으로 흐르게 하면
기업투자 살려 근본적 경기회복 가능
원자재·농산물값 상승 오래가진 않을 것
유통과정 개선으로 조절할수 있어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이필상 서울대 경제학부 특임교수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

국제유가 상승과 회복되는 소비심리 등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인상 가능성 역시 뚜렷해졌다. 전문가들은 단기적 인플레이션 우려는 크지 않지만, 코로나19 충격 회복으로 인한 물가상승 가능성이 공존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 때문에 불가피해진 금리인상에 대해 '타이밍'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공급요인 끝나도 경기회복 압력"

전문가들은 물가급등의 이유로 가장 먼저 공급 유인을 꼽았다. 특히 국제유가 상승이 물가상승을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국제유가와 석유 등 원자재 가격, 특히 농수산물 가격이 주로 많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KDI는 지난 10일 펴낸 경제동향 5월호에서도 "국제유가(두바이유)가 기저효과로 인해 급등하면서 석유류 가격을 중심으로 소비자물가 상승세도 확대됐다"고 밝혔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도 "세계적인 경기회복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식료품 공급 부족 등 유인이 강하게 나오고 있다"고 했고,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역시 "유가상승은 경제 활성화, 식료품이나 농축산물 가격 인상은 공급이나 기후 등이 요인"이라고 꼽았다.

다만 이 같은 공급요인에 따른 물가상승은 일시적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정 실장은 "공급측 요인에 의한 물가상승은 장기간 지속되지 않고 수요가 계속 올라오고 있는지를 봐야 하는데, 근원물가가 2%를 하회하고 있어 당장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그러나 소비심리 회복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트리거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코로나19가 진정되면서 눌렸던 소비심리가 살아나면 공급요인이 끝나더라도 물가는 계속 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성 교수는 "지금 (인플레이션)요인은 3·4, 4·4분기엔 둔화될 수 있다고 본다"며 "그런데 그때 백신 면역이 확보되고 경기가 더 회복된다면 지금 미국처럼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가 나올 수 있다"고 했다. 김 교수는 "당장 오른 것들이 농축산물 쪽이기 때문에 앞으로 계속 오를 거라고 보기는 쉽지 않고, 향후 아직 가격이 올라오지 않은 공산품 등에서 가격 압력이 더 있을 수 있다"고 했다.

이필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역시 "일시적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 "경기가 회복되려면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빠르게 코로나19가 진정되면 물가상승은 금방 일어날 것이고 늦어져도 물가상승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금리인상은 '불가피'

이 같은 물가상승에 따른 금리인상 우려에 대해서도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정부가 사전에 인플레이션을 차단하는 것 역시 쉽지 않기 때문에 금리인상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적절한 시기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미국이 현재 금리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며 "올리긴 해야 하는데 현재 가계부채가 많아 부담되고 불안한 상황"이라고 했다. 결과적으로 금리인상이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시기를 잘 조정할 경우 긍정적 결과를 낼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 교수는 "미국이 금리를 올리게 되면 우리나라도 올릴 가능성이 더 커진다"며 "단기적으로는 경제에 부정적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적시에 올리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이어 "다가올 인플레이션 압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금리인상 등을 통해 유동성 증가를 막아야 할 것"이라며 "(금리인상을) 너무 늦게 하면 과열 우려, 너무 빨리 하면 회복세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올릴 타이밍을 잘 잡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재와 향후 발생할 인플레이션 우려를 사전에 차단하기는 어렵지만, 공급요인을 정부가 조절할 수는 있다고 조언했다. 정 실장은 "수급 유통과정을 개선하거나 달걀 수입 등 수급을 해소할 수 있으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 교수는 "시중에 많이 풀린 자금을 산업 투자자금으로 흐르게 해 기업 투자를 활성화하고 근본적인 경기활성화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onsunn@fnnews.com 오은선 이진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