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최신뉴스

게임스톱·AMC 등 밈주 다시 폭등...'포효하는 야옹이' 활동 재개 [송경재의 새벽증시]

파이낸셜뉴스 2024.05.14 03:33 댓글0

[파이낸셜뉴스]
'포효하는 야옹이' 키스 길이 2021년 2월 18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청문회에서 증언하고 있다. 길은 약 3년 만인 13일 소셜미디어 X의 '포효하는 야옹이' 계정에 다시 포스트를 올리면서 활동 재개를 시사해 게임스톱 등 밈주 폭등 방아쇠 역할을 했다. AP 연합
'포효하는 야옹이' 키스 길이 2021년 2월 18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청문회에서 증언하고 있다. 길은 약 3년 만인 13일 소셜미디어 X의 '포효하는 야옹이' 계정에 다시 포스트를 올리면서 활동 재개를 시사해 게임스톱 등 밈주 폭등 방아쇠 역할을 했다. AP 연합


게임스톱, AMC 엔터테인먼트 등 이른바 밈주들이 13일(현지시간) 폭등했다.

이들 주가가 폭등할 별다른 펀더멘털 호재가 없었지만 주가가 폭등했다.

지난 2021년 밈주 열풍 방아쇠를 당겼던 개미 투자자이자 '월스트리트 벳츠'의 블로거 '포효하는 야옹이(Roaring Kitty)'가 소셜미디어 X에 그림 한 장을 올린 것이 이날 밈주 폭등을 촉발했다.

활동 재개(?)


배런스에 따르면 포효하는 야옹이가 올린 그림은 게임 컨트롤러를 쥐고 빨간색 의자에 기대앉아있던 한 남성이 허리를 등받이에서 떼고 게임에 집중하는 것 같은 모습 한 장이다.

이 그림은 2021년 여름 이후 '포효하는 야옹이' 키스 길이 3년 만에 처음으로 올린 포스트다.

활동을 재개하겠다는 신호로 해석됐다.

게임스톱을 비롯해 밈주 열풍을 일으켰던 길이 다시 공매도 압박 등을 통해 밈주 열풍을 재연하겠다는 것으로 개미 투자자들은 받아들였다.

공매도 압박


밈주가 2021년 폭등세를 탄 것은 이른바 '공매도 압박(short squeeze)'이 겹친 연쇄작용에 따른 것이었다.

기관 투자가들이 당시 게임스톱 주가가 펀더멘털에 비해 지나치게 높다고 판단해 공매도를 한 것이 그 발단이었다.

기관 투자가들은 주가 하락을 예상해 게임스톱 주식을 빌려 먼저 내다 판 뒤 주가가 하락하면 주식을 사서 이를 되갚을 계획이었다.

그러나 길이 개미 투자자들을 부추기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개미 투자자들은 게임스톱 거래 물량이 많지 않다는 점을 이용해 주식을 집중적으로 사들였고, 주가는 뛰었다. 주가가 계속해서 오르자 막대한 손실에 직면한 공매도 기관 투자가들은 큰 폭으로 오른 게임스톱 주식 매수에 나섰다.

이들의 매수세는 게임스톱 주가를 더 끌어올렸다. 바로 공매도 압박이다.

밈주 폭등


13일 길의 활동 재개를 알리는 포스트로 게임스톱 주가가 장 초반 100% 넘게 폭등하는 등 밈주들이 일제히 폭등했다.

게임스톱은 지난 주말보다 12.99달러(74.40%) 폭등한 30.45달러, 영화관 체인 AMC는 2.28달러(78.35%) 폭등한 5.19달러로 뛰었다.

렌터카 업체 허츠 글로벌도 0.58달러(11.86%) 폭등한 5.47달러로 장을 마쳤다.

거품 우려


밈주 열풍이 얼마나 갈지는 모르지만 열풍 재개가 주식 시장에 보탬이 되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벌써부터 나온다.

차트 분석으로 유명한 케이티 스탁턴 페어리드스트래터지스 공동 창업자는 "밈주 상승세는 개미 투자자들이 과도하게 들떠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면서 시장에 역풍을 몰고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비스포크인베스트먼트 공동 창업자 폴 히키도 비관적인 투자자라면 밈주 열풍을 명확한 거품의 전조로 해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