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국내시황

2022/09/19 코스닥 마감시황

인포스탁 2022.09.19

코스닥 마감시황

9/19 KOSDAQ 751.91(-2.35%) FOMC 경계감(-),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美/中 갈등 우려(-), 외국인 순매도(-)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페덱스 경기 침체 경고,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 등에 하락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71.52(+1.48P, +0.19%)로 상승 출발. 장초반 772.45(+2.41P, +0.3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하락 전환한 뒤 낙폭을 확대. 시간이 지날수록 낙폭을 키운 지수는 장후반 750.64(-19.40P, -2.52%)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751.91(-18.13P, -2.35%)로 장을 마감.

FOMC 경계감 속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지속, 美/中 갈등 우려 등이 악재로 작용한 가운데, 외국인이 4거래일 연속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특히, 최근 시장 대비 양호한 모습을 나타냈던 성일하이텍(-6.53%), 에코프로(-6.88%), 새빗켐(-13.82%), 이지트로닉스(-7.45%) 등 폐배터리 관련주를 비롯한 2차전지 관련주들의 약세가 두드러짐.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511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573억, 118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에코프로(-6.88%), 성일하이텍(-6.53%), 카카오게임즈(-6.17%), 엘앤에프(-5.16%), 에스엠(-4.18%), 위메이드(-3.84%), CJ ENM(-3.33%), 오스템임플란트(-3.29%), 알테오젠(-3.10%), 천보(-2.42%), 셀트리온제약(-2.02%), 에스티팜(-1.49%), 동진쎄미켐(-0.96%), HLB(-0.95%), JYP Ent.(-0.65%), 셀트리온헬스케어(-0.45%), 스튜디오드래곤(-0.29%) 등이 하락. 반면, 펄어비스(+0.93%), 리노공업(+0.51%), 에코프로비엠(+0.30%)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출판/매체복제(+2.01%) 업종만 상승했을 뿐, 여파 업종은 일제히 하락. 화학(-4.22%), 금속(-3.70%), IT 부품(-3.46%), 정보기기(-3.38%), 기계/장비(-3.21%), 디지털컨텐츠(-3.15%), 건설(-3.12%), 금융(-3.11%), 기타 제조(-3.08%), IT S/W & SVC(-2.80%), 통신서비스(-2.74%), 종이/목재(-2.66%), 제조(-2.56%), 소프트웨어(-2.52%), 통신방송서비스(-2.50%) 업종 등의 약세가 두드러짐.

마감 지수 : KOSDAQ 751.91P(-18.13P/-2.35%)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