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해외시황

2021/05/24 중국 마감시황

인포스탁 2021.05.24

중국 마감시황

5월24일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저가 매수세 유입 속 기술주 강세 등에 소폭 상승.

이날 상해종합지수는 3,486.27(-0.01%)로 약보합 출발. 장 초반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다 오전중 낙폭을 키워 3,469.88(-0.48%)에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낙폭을 축소해 오전장 후반 상승전환한 뒤 상승폭을 확대해 나갔음. 오후들어 3,498.30(+0.34%)에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오후 장중 3,490선을 밑돌기도 했지만, 대체로 3,495선 부근에서 상승세를 이어간 끝에 3,497.28(+0.31%)에서 거래를 마감.

최근 부진한 모습 을 보였던 기술주를 비롯해, 금융주, 소비재주 등이 강세를 보인 영향으로 중국 증시 는 상승 마감. 최근 원자재, 산업재 업종 등이 중국 증시를 주도해왔지만, 중국 국무 원에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한 관리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언급하면서 소외됐던 기술주, 금융주, 소비재주 등이 저가 매수세 유입 속 강세를 나타냈음.
아울러 美 경제지표 호조 속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진 점도 중국 증시에 상방 압력으로 작용. 21일(현지시간) IHS 마킷이 발표한 미국의 5월 제조업 및 서비스업 PMI 예비치(계절조 정치)는 집계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글로벌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음.

한편, 인민은행은 금일 공개 시장 조작을 통해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을 100억 위안 규모 매입했음.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음식료, 소프트웨어/IT서비스, 은행/투자서비스, 개인/가정용품, 부동산운용, 복합산업, 소매 업종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초상증권(+2.85%), 상해육가취(+2.68%), 중신증권(+2.52%), 중국동방항공(+1.07%), 중국인수보험(+1.22%) 등이 상승. 반면, 광주자동차(-4.32%), 낙양몰리브덴(-3.26%), 페트로차이나(-1.49%) 등이 하락 마감했음.

마감지수 : 상해종합지수 3,497.28P(+10.73P/+0.31%), 상해A지수 3,665.78P(+11.24P/+0.31%), 상해B지수 247.82P (+0.78P/+0.32%)

중국 국내증시와의 상관관계

지난 2021년 3월4일부터 중국의 연중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가 개최된 가운데, 리커창 총리는 3월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4차 연례 회의에서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6% 이상으로 제시하면서 거시정책 급선회 는 없다고 강조했음. 5월20일 中 인민은행은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1년 만기와 5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각각 3.85%, 4.65%로 공지하면서 13개월 연속 동결했음.

과거 중국의 주요 산업은 값싼 노동력을 이용한 섬유와 신발 가공산업 등 저부가가치 산업 중심이었으나 중국 경제의 비약적인 성장과 더불어 기술력이 향상됨에 따라 IT, 자동차, 정밀기기, 화학 등의 고부가 가치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확대.
또한,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경제규모가 점점 확대되고 있어 글로벌 증시에 미치는 영향력이 점점 확대. 특히, 중국정부의 기준금리 및 지급준비율 조정 등 대내외적인 정책의 변동에 따라 아시아와 우리나라의 수출과 원자재 수요에 큰 영향을 미침.

중국 상관업종-테마-종목

은행 -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신한지주, KB금융, 기업은행 등

증권 - 삼성 증권, NH투자증권, 한국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등

철강, 금속 - POSCO, 현대제철, 동국제강, 고려아연, 풍산 등

석유화학, 정유 - 롯데케미칼, LG화학, GS, S-Oil, SK이노베이션 등

건설 - DL이앤씨, 대우건설, 현대건설, GS건설, 삼성물산 등
[ 작성일자 : 2021/05/24 16:47]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