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 정책위원 과반 금리인상 지지…트럼프 취임후 판단"
23~24일 일본은행 금융정책결정회의기준금리 연 0.25%→0.5%로 인상에 무게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정책위원 중 절반 이상이 다음 주 열리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금리 인상에 찬성하는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관계자 등을 취재해 18일 보도했다. 일본은행의 우에다 가즈오 총재와 히미노 료조 부총재를 포함해 9명의 정책위원은 오는 23∼24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인 단기 정책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결정은 다수결로 이뤄지며 5명 이상이 찬성하면 가결된다. 닛케이는 "일본은행 집행부가 0.5%로 금리를 인상하는 의안을 낼 경우 정책위원 과반이 찬성할 전망"이라며 "일부 위원은 신중한 자세를 보이지만 금리 인상이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일본 정책금리가 현재 0.25%에서 0.5%로 인상되면 2008년 10월 이후 약 17년 만의 최고 수준이 된다. 일본은행은 오는 20일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차기 미국 대통령의 정책 발언과 이후 국내외 시장 반응을 살펴본 뒤 최종 결정할 방침이라고 닛케이는 전했다. 다만 일본은행 관계자는 "트럼프 취임 뒤 시장이 크게 요동치면 금리를 인상할 여건이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단기 정책금리를 17년 만에 올리며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했고, 작년 7월 금리를 0∼0.1%에서 0.25% 정도로 올린 뒤 추가 인상 시기를 검토해 왔다. 이번에 추가 인상하면 반년 만이며 지난해 3월 마이너스 금리 정책 종료 이후 3번째가 된다.cjk@fnnews.com 최종근 기자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적 민감도 높아진 美 증시… 이익 모멘텀 종목 주목“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미국 증시가 금융주의 실적 발표를 시작으로 어닝 시즌의 막을 올린 가운데 실적 성장 탄력이 둔화되고 있다는 증권가의 분석이 나왔다. 17일 키움증권 최재원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미국 기업들의 실적 우상향 경로에는 이상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실적 성장 탄력이 소폭 둔화되고 있고, 특히 글로벌 증시를 견인해 온 빅테크 기업들이 집중돼 있는 IT 업종의 실적 전망 하방 압력이 높은 현재의 상황은 어닝 시즌이 진행되는 동안 실적에 대한 민감도를 확대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의 4·4분기 순이익 성장률 전망은 지난 9월 14.6%에서 11.7%로 둔화됐다. 업종별로는 소재가 12.9%에서 -4.6%로 크게 감소했고, 에너지가 -12.6%에서 -26.4%, 헬스케어가 20.3%에서 11.4%로 하향폭이 컸다. 최 연구원은 "현재 미국 S&P500의 주가수익비율(PER)은 5년 평균(19.9배)를 상회한 21.8배 수준에 위치하며,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은 상태"라며 "과열을 낮추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실적 전망의 상향 조정 모멘텀이 필요한데 금융 업종과 같은 양호한 어닝 서프라이즈 탄력이 이어질 가능성은 현재로서 높지 않다"고 짚었다. 이어 최 연구원은 "S&P500 전체적으로 실적 전망 하향 압력이 우위에 있다"며 "어닝 시즌 돌입을 앞두고 최근 1개월 사이 주당순이익(EPS) 이익조정 비율을 살펴보면 4·4분기 이익조정 비율이 개선되는 업종은 부동산, 유틸리티, 커뮤니케이션, 금융, 자유소비재 업종뿐"이라고 강조했다. 최 연구원은 실적 눈높이가 낮아지고 있는 만큼 이익 모멘텀을 보유한 종목에 주목하라고 조언했다. 최 연구원은 "금번 어닝 시즌을 안정적으로 소화하기 위해서는 업종 또는 스타일보다는 개별 종목 수준에서 이익 모멘텀 보유 여부에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실적 모멘텀이 희소해지는 환경이 펼쳐지자 이익모멘텀과 실적 관련 종목들의 성과가 빠르게 개선되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다"고 말했다.hippo@fnnews.com 김찬미 기자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