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정의선의 현대차, 미국에 4년간 31조원 투자…트럼프 관세 우회

파이낸셜뉴스 2025.03.25 04:30 댓글 0

[파이낸셜뉴스]
정의선(가운데) 현대차그룹 회장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두 번째)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2028년까지 210억달러를 미국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왼쪽은 마이크 존슨 미 하원의장, 오른쪽 첫 번째는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 뉴스1
정의선(가운데) 현대차그룹 회장이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두 번째)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2028년까지 210억달러를 미국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왼쪽은 마이크 존슨 미 하원의장, 오른쪽 첫 번째는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 뉴스1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앞으로 4년간 미국에 210억달러(약 30조8000억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이날 오후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재한 발표 행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현대차는 오는 2028년까지 미국에서 자동차 생산 부문에 86억달러, 부품과 물류, 철강 부문에 61억달러, 그리고 미래 산업과 에너지 분야에 63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현재 앨라배마와 조지아에 각각 자동차 생산 라인을 갖고 있는 현대차는 곧 문을 여는 세 번째 미 공장인 조지아주의 ‘현대차그룹 메타 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생산 설비도 대거 확대하기로 했다.

조지아주 HMGMA의 연간 생산 능력을 20만대 추가해 미국 3개 공장에서 연간 120만대 이상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부품·물류·철강 분야 투자의 일환으로 루이지애나주에는 현대차그룹 산하의 현대제철 제철소가 들어선다.

연간 27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로 저탄소 자동차 강판 특화 제철소다. 현대차가 미국에서 생산하는 전기차를 비롯해 각종 자동차에 필요한 철강을 루이지애나 제철소에서 공급하게 된다.

이미 현대차는 미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와 경쟁하는 최고 전기차 업체로 성장했다.

현대차는 아울러 자율주행, 로봇, 인공지능(AI),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미래 신기술에 63억달러를 투자한다. 미 주요 기업들과 협력하고, 현대차가 인수한 미 현지법인 보스턴 다이내믹스, 슈퍼널 등의 사업화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모두 210억달러를 투자하는 4년짜리 이번 계획은 한국 기업으로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첫 대규모 대미 투자다.

외국 기업으로는 일본 소프트뱅크와 대만 TSMC에 이어 현대차가 세 번째로 백악관에 초대돼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소프트뱅크는 1월 21일 백악관에서 오픈AI, 오라클과 함께 앞으로 4년 동안 최대 5000억달러를 투자해 미국에 AI용 데이터센터를 짓는 이른바 ‘스타게이트’ 계획을 발표했다.

또 TSMC는 지난 3일 백악관에서 애리조나에 1000억달러를 투자해 새 반도체 제조 설비를 짓기로 했다.

현대차의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 발표는 트럼프의 상호관세를 앞두고 이뤄졌다.

트럼프는 다음달 2일부터 관세, 비관세 장벽을 모두 관세로 간주해 이와 맞먹는 규모의 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다.

당초 같은 날 시행 예정이던 25% 자동차 관세는 이날 ‘매우 이른 시기에’ 시행하는 것으로 말이 바뀌었지만 자동차 생산에 필요한 철강에는 이미 25% 관세를 물리고 있다.

현대차는 이번 대미 투자 계획을 토대로 미 자동차 생산 능력 확충, 필요 철강 자체 조달 등으로 트럼프의 관세를 우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트럼프는 미 공장 설립 등 투자 확대를 시행하면서 허가에 어려움이 있으면 내게 오라면서 자신이 직접 걸림돌들을 없애겠다고 약속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