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여보, 보험 깨고 대출 갚을까" 팍팍한 살림살이…'불황형' 대출 증가

파이낸셜뉴스 2024.05.13 06:02 댓글 0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 40대 직장인 최모 씨는 최근 생명보험을 해지해 대출을 모두 갚았다. 최 씨는 "대출이자 부담으로 보험 해지를 결심했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자 부담이 너무 컸다"면서 "보험이 없으니 병원비를 따로 저축하거나, 다시 보험을 들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최근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가계 경제가 어려워지자, 보험료 부담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급한 불을 끄기 위해 보험을 해지하거나 보험료를 내지 못한 비자발적인 보험 해지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22개 생명보험사에서 지난 1~2월 두 달 동안 고객이 해약하거나 효력이 상실된 보험은 114만 7369건으로 집계됐다. 효력상실은 가입자가 보험료를 몇 달씩 내지 못한 보험 계약이 깨지는 것으로 비자발적인 보험 해지를 뜻한다. 보험 효력상실 및 해약은 2022년 같은 기간(1~2월) 90만 3754건, 지난해 같은 기간 112만 4224건으로, 3년째 증가하는 추세다.

"힘들어서 계약대출 알아보러 왔습니다"

높아진 은행 대출 문턱에 보험약관대출(계약대출) 문을 두드리는 사람도 늘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전체 보험사(생명·손해)의 가계 약관대출 잔액은 지난해 1분기 68조 830억원에서 4분기 70조 9533억원으로 9개월간 2조 8703억원 증가했다. 보험약관대출은 보험 해지환급금 일부를 미리 빌려 쓰는 제도라, 별도 대출심사가 없다. 대출 방법이 간편해 경기가 나쁠 때 급전이 필요한 가입자들이 찾는 대표적인 ‘불황형 대출’이다.

실제로 2021년 말 47조원대에서 유지되던 생보업계 약관대출 잔액은 금리 인상이 시작되며 2022년 말 49조원대로 증가하고 지난해 상반기 중 6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경기 불황을 보여 주는 또 다른 지표인 개인회생 신청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3월까지 법원에 접수된 개인회생은 3만 3295건으로, 통계를 집계한 2013년 3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은행 막히니 '인뱅·저축은행'으로

그런가 하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주문과 연체율 상승 등으로 은행들이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면서,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워진 차주들은 인터넷은행, 저축은행 등으로 이동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인뱅·저축은행 등도 가계대출 연체율 관리 차원에서 대출을 조이면서 카드론으로 대출 수요가 몰린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79곳의 저축은행 가운데 지난 3월 신용평점이 600점 이하인 저신용자에게 3억원 이상의 신용대출을 취급한 저축은행은 13곳에 불과했다.

그 결과 최근 카드론 금리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말 기준 카드론 금리는 지난달 기준 7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우리·하나)의 평균 카드론 금리는 14.44%로 집계됐다.

7개사의 카드론 금리는 지난해 7~9월 13% 후반대에서 14% 초반대에 머무르다 10월 말부터 14.31%, 11월 말 14.34%, 12월 말 14.55%, 올 1월 말 14.54%, 2월 말 14.42% 등으로 14% 중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3월 말 카드론 금리를 카드사별로 보면 우리카드가 15.32%로 가장 높았다. 이어 롯데카드가 15.20%, 하나카드 14.71%, 신한카드 14.33%, 삼성카드 14.20%, KB국민카드 14.15%, 현대카드 13.20% 순으로 나타났다.

중저신용자인 700점 이하 회원 평균 금리는 17.21%로 집계됐다. 우리카드가 18.87%, 롯데카드, 17.56%, 삼성카드 17.34%, 현대카드 17.24%, 신한카드 17.19%, KB국민카드 16.15%, 하나카드 16.13% 등이었다.

hsg@fnnews.com 한승곤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