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거래소시황

[단독]"원전 재검토"… 40조원 폴란드 원전 수주 좌초 위기

.

한국수력원자력이 '24조 원' 규모의 체코 신규 원전 건설사업을 수주하는데 성공했다. 사진은 체코 신규원전 예정부지 두코바니 전경.(대우건설 제공) 2024.7.17/사진=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폴란드 정부가 최소 40조원 규모의 폴란드 원전 수주 계약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16일 원자력업계 등에 따르면 폴란드 정부는 한국과의 원전 수주 계약을 재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2022년 10월 협력의향서(LOI) 체결 후 발주사와 타당성조사 수행 협의를 진행하고 현지 주재 인력을 파견했지만 2023년 12월 폴란드 신정부 수립 후 동사업에 대한 재검토 입장을 표명한 상태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2022년 10월 폴란드 민간발전사 ZE PAK, 국영 전력공사 PGE와 한국수력원자력은 폴란드 원전 개발계획 수립 관련 양국 기업간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폴란드 국유재산부는 정부부처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당시 LOI에 따르면 한수원과 ZE PAK, PGE는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서 240㎞ 떨어진 퐁트누프 지역에 한국이 독자 개발한 3세대 원자로 'APR1400' 기술을 기반으로 원전 개발 계획을 공동 수립하기로 했다.

해당 지역은 현재 ZE PAK이 석탄발전소를 운영하는 곳이다. 양국은 석탄발전소 부지와 인근 지역을 합쳐 최소 2기에서 최대 4기의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이었다. 사업 규모는 최소 300억달러(43조원)으로 추산됐다.
LOI 체결 이후 폴란드 정권 변화로 타당성 조사 등 사업 지연은 확인된 바 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사업이 무산된 건 아니지만 (일정대로면) 현재 타당성 조사를 진행해야 하는데 폴란드 정권 교체 후 진행이 잘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은 사실상 프로젝트 무산으로 해석된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무엇보다 기업간 LOI와 정부부처간 MOU가 법적 구속력은 없는 만큼 폴란드 내부 상황에 따라 사실상 원전 수주가 좌초될 가능성이 있다.

0/1000 byte

등록

목록 글쓰기

무료 전문가 방송

1/3

최근 방문 게시판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