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국내시황

2023/03/02 환율 마감시황

인포스탁 2023.03.02

환율 마감시황

3월2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위안화 강세 영향 등에 하락.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16.1원 하락한 1,306.5원으로 출발. 장초반 1,304.0원(-18.6원)에서 저점을 형성한 원/달러 환율은 낙폭을 축소한 뒤 1,312선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이어가는 모습. 장후반 재차 낙폭을 축소한 원/달러 환율은 장중 고점인 1,315.6원(-7.0원)에서 거래를 마감.

원/달러 환율은 전일 위안화가 중국의 경기 호전 기대로 강세를 보인 영향 등에 하락하는 모습. 전일 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2월 제조업 PMI가 52.6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전월 기록한 50.1과 시장 예상치인 50.5를 웃돈 수치이며, 지난 2012년 4월 이후 가장 빠른 속도의 확장세임. 아울러 민간지표인 2월 차이신 제조업 PMI도 51.6를 기록하며 전월 49.2에서 확장 국면으로 전환한 것으로 전해짐.

다만, 연준 위원의 매파적 발언 속 긴축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점은 원/달러 환율의 하락폭을 제한. 전일(현지시간)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3월 FOMC에서 25bp와 50bp 인상 가능성에 '모두 개방적'이라며 50bp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으며,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3월 연준이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해야한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음. 아울러 수출액이 5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는 점도 원/달러 환율에 하락폭을 제한. 전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501억 달러로 전년동월(541억6,000만 달러)보다 7.5% 감소한 것으로 전해짐.

원/달러 : 1,315.6원(-7.0원)

환율 국내증시와의 상관관계

원/달러 환율은 최근 美 연준의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속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부각되면서 1,400원을 상회하는 등 강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론이 제기되면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한편, 연준은 올해 첫 FOMC 회의를 마치고 통화정책 성명에서 기준금리를 4.50%~4.75%로 0.25%p 인상. 지난해 3월 이후 처음으로 베이비스텝을 결정하면서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나서는 모습. 또한, 파월 의장은 회의 직후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처음으로 '디스인플레이션(인플레이션 완화)’을 언급하면서 시장의 예상보다 유화적인 태도를 나타냈음.

23년2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연 3.50%인 기준금리를 동결했음. 이로써 한국은행의 연속 금리 인상 기록은 일곱 차례로 마감됐음. 다만, 이창용 한국은행 총리는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4월 이후 매 금통위회의 때마다 기준금리를 인상해 오다가 이번에 동결한 것은 그 어느 때보다 높은 불확실성을 고려한 결정이었다"며 "이번 기준금리 동결을 '금리 인상 기조가 끝났다'라는 의미로 받아들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밝힘.

일반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자동차, 조선, 전기전자업종 등 국내 대표 수출기업들의 채산성이 높아지면서 국내주식시장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이러한 수출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되어 투자심리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음. 그러나 원/달러 환율이 하락한다는 것은 원화 가치가 상승하였다는 의미이며 글로벌 투자가들이 그만큼 한국경제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함.

환율 상관업종-테마-종목

국내 산업기반이 수출 중심이기 때문에 환율하락은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음. 환율하락의 피해는 국내에서 수출하는 기업군 전체이며, 특히 환헤징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가장 큰 피해주라 할 수 있음. 반면 외화 부채가 많거나 원재료 수입비중이 높아 환율하락으로 인한 비용절감 효과가 큰 기업군(항공, 해운, 식음료, 유화, 전력, 화학, 철강주)들은 상대적으로 수혜가 전망됨.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며 원화 환율이 상승할 경우에는 환율하락의 피해주로 부각되었던 주요 수출기업들이 수혜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음. 대표적인 환율상승 수혜주로 분류되는 업종은 자동차, 조선 등임. 이들 산업의 종목들은 매출액 중 수출비중이 높아 환율이 상승할 경우 채산성 개선효과 매우 빠르고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

원화강세수혜주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대한해운, HMM, 한국전력, POSCO, 동국제강, 현대제철, 고려아연, 한국철강, 농심, S-Oil, 대상, CJ, 삼양사, 하나투어, 모두투어
원화약세수혜주 :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조선주 등 주요수출기업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