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국내시황

2021/02/02 환율 국내증시와의 상관관계

인포스탁 2021.02.02

환율 국내증시와의 상관관계

원/달러 환율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팬데믹(Pandemic) 우려가 커지며 3월 중 1,300 원대 부근까지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 기대감 및 위안화 강세 등의 영향으로 1,100원 아래에서 움직이고 있음. 한편, 美 연방준비제도(Fed)는 20년3월15일(현지시간) 코로나19 여파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제로금리(0.00~0.25%)' 수준으로 전격 인하했음. 이후 FOMC 회의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둔 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동결했고, 장기간 제로수준의 금리를 유지할 것을 시 사.
한국은행은 21년1월25일 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행 연 0.50%로 8개월째 동 결. 코로나19 개선에 따른 경기 회복세를 보이기 전까지는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유지 한다는 기존 방침을 이어갔음.

일반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자동차, 조선, 전기전자업종 등 국내 대표 수출기업들의 채산성이 높아지면서 국내주식시장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이러한 수출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되어 투자심리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음. 그러나 원/달러 환율이 하락한다는 것은 원화 가치가 상승하였다는 의미이며 글로벌 투자가들이 그만큼 한국경제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함.

환율 상관업종-테마-종목

국내 산업기반이 수출 중심이기 때문에 환율하락은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음. 환율하락의 피해는 국내에서 수출하는 기업군 전체이며, 특히 환헤징이 취약한 중소기업이 가장 큰 피해주라 할 수 있음. 반면 외화 부채가 많거나 원재료 수입비중이 높아 환율하락으로 인한 비용절감 효과가 큰 기업군(항공, 해운, 식음료, 유화, 전력, 화학, 철강주)들은 상대적으로 수혜가 전망됨.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며 원화 환율이 상승할 경우에는 환율하락의 피해주로 부각되었던 주요 수출기업들이 수혜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음. 대표적인 환율상승 수혜주로 분류되는 업종은 자동차, 조선 등임. 이들 산업의 종목들은 매출액 중 수출비중이 높아 환율이 상승할 경우 채 산성 개선효과 매우 빠르고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

원화강세수혜주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대한해운, HMM, 한국전력, POSCO, 동국제강, 현대제철, 고려아연, 한국철강, 농심, S-Oil, SK, 대상, CJ, 삼양사, 한국제지, 하나투어, 모두투어
원화 약세수혜주 :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조선주 등 주요수출기업

환율 마감시황

2월2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글로벌 달러화 강세 등에 소폭 상승.

이 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보다 0.5원 오른 1,117.0원으로 출발. 장 초반 1,119.5원(+3.0원)에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상승폭을 축소했고 오전장 후반 하락해 1,114.0원(-2.5원)에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보합권까지 올라선 뒤 등락을 보이다 장 막판 상승 폭을 일부 키운 끝에 1,117.7원(+1.2원)에서 거래를 마감.

글로벌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며 원/달러 환율에 상승 압력으로 작용. 1일(현지시간) 발표된 ISM 제조업지수가 시장예상치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확장국면을 이어간 가운데, 美 공화당 의원 들이 바이든 대통령에게 부양책 규모를 하향 조정할 것을 요구하는 등 추가 경기 부양책 관련 불확실성이 부각되며 글로벌 달러화가 강세를 보였음.

다만, 바이든 대통 령은 "현시기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법안에는 응하지 않을 것"이라며, 1조9,000억달러 의 경기 부양 법안이 초당적인 지지로 통과되기를 기대한다고 언급.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며 장중 원/달러 환율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기도 함.

원/달러 : 1,117.7원(+1.2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