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뉴스시세 메인

주요뉴스

[뉴욕증시] 나흘 내리 상승…테슬라 10%, 엔비디아 4% 폭등

[파이낸셜뉴스] 뉴욕 증시가 25일(현지시간) 나흘째 상승세를 이어가며 높은 주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테슬라가 9.8% 폭등하는 등 이날도 M7 빅테크가 상승 흐름을 주도했다. AP 연합 뉴욕 증시가 25일(현지시간) 나흘째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3대 지수는 나스닥이 1주일 동안 6.7% 폭등하는 등 주간 단위로도 모두 큰 폭으로 뛰었다. 테슬라는 자율주행 규제 완화 호재 속에 이날 10% 폭등했고, 엔비디아는 알파벳 실적 발표에서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가 여전히 탄탄하다는 점이 확인되며 4% 넘게 급등했다. 4일 연속 상승 대형 우량주 30개로 구성된 다우존스산업평균이 오르내림을 반복한 끝에 강보합세로 마감하면서 3대 지수가 모두 올랐다. 다우는 전장 대비 20.10 p(0.05%) 오른 4만113.50으로 강보합 마감했다. 시황을 폭넓게 반영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40.44 p(0.74%) 상승한 5525.21로 장을 마쳤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은 216.90 p(1.26%) 뛴 1만7382.94로 올라섰다. 3대 지수는 주간 단위로도 모두 큰 폭으로 올랐다. 다우가 2.48% 급등했고, S&P500과 나스닥은 각각 4.59%, 6.73% 폭등했다. ‘월가 공포지수’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급락 흐름을 지속했다. VIX는 1.63 p(6.16%) 급락해 24.84로 떨어졌다. VIX는 이번 주 16% 넘게 떨어졌다. 투자자들의 공포감이 크게 완화됐다는 뜻이다. 부활절 연휴 기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 흔들기에 나서면서 21일 폭락세로 출발했던 뉴욕 증시가 1주일 전체로는 투자 심리가 안정을 되찾으면서 반등에 성공했다. 테슬라, 엔비디아 폭등 테슬라와 엔비디아는 이날 큰 폭으로 뛰며 증시 상승 흐름을 주도했다. 테슬라는 전날 미 교통부가 연방 차원의 자율주행 규제 완화를 추진하기로 하고, 이날 캘리포니아 차량부(DMV) 역시 자율주행 규제 완화를 위한 여론 수렴을 시작하면서 주가가 폭등했다. 자율주행, 또 이를 기반으로 하는 자율주행택시인 로보택시가 테슬라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란 기대에 불을 지폈다. 테슬라는 오는 6월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고, 내년에는 로보택시인 사이버캡을 본격적으로 양산할 계획이다. 테슬라는 25.44달러(9.80%) 폭등한 284.95달러로 치솟았다. 1주일 동안 주가가 18% 폭등했다. 엔비디아도 4% 넘게 급등했다. 중국이 미국 반도체 관세를 취소했다는 보도와 전날 장 마감 뒤 알파벳의 탄탄한 분기 실적이 엔비디아 주가 급등으로 이어졌다. 알파벳은 실적 발표에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투자가 탄탄하다는 점을 입증했다. 엔비디아는 4.58달러(4.30%) 급등한 111.01달러로 장을 마쳤다. 엔비디아는 1주일 전체로는 9.38% 폭등했다. 애플은 이날 하락세로 돌아서기도 하는 등 부진했지만 결국 오름세로 장을 마쳤다. 이날은 0.91달러(0.44%) 오른 209.28달러로 마감했다. 애플도 테슬라, 엔비디아 등 다른 M7 빅테크 종목들처럼 22일 이후 나흘을 내리 올랐다. 주간 상승률은 6.24%를 기록했다. 현혹되지 마라 뉴욕 증시가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는 와중에도 전문가들의 비관 전망은 지속되고 있다. 이날도 예외가 아니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최고투자전략가(CIS) 마이클 하트넷은 분석노트에서 이번 주 뉴욕 증시 반등에 현혹되지 말라고 충고했다. 하트넷은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앞으로도 계속 시장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면서 지금의 상승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낙관했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올 상반기에는 외국 주식과 금, 국채를 저가 매수하는 한편 미국 주식과 달러화는 매도하라고 권고했다.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해외증시뉴스

최신뉴스

국내시황스크린

증권사신규추천
[KB]솔루엠(248070) : - 전자가격표시기 (ESL)의 글로벌 보급 확대 본격화- ESL 내에 다이나믹 프라이싱, AI 기능 등의 도입으로 ASP 상승 기대제외 종목[KB]트루엔(417790) : 목표수익률 달성으로 포트폴리오 편출
코스피 마감시황
2/29 KOSPI 2,642.36(-0.37%) 美 PCE 발표 경계감(-), 기관 순매도(-), 개인·외국인 순매수(+), 저PBR주 상승(+)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PCE 지표 경계감 지속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643.48(-8.81P, -0.33%)로 하락 출발. 장 초반 낙폭을 키웠고, 2,628.62(-23.67P, -0.89%)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이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줄였고, 오후 들어 2,647.56(-4.73P, -0.1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장 후반 2,368선까지 낙폭을 재차 키우기도 했으나 결국 2,642.36(-9.93P, -0.37%)에서 거래를 마감. 美 PCE 지표 발표를 앞둔 경계감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기관 순매도 속 코스피지수는 하락. 기관이 5,000억 넘는 순매도를 보이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다만 외국인이 6거래일 연속 순매수, 개인도 3,000억 넘는 순매수를 기록하면서 지수는 낙폭을 만회한 채 거래를 마감. Fed가 선호하는 물가지표인 美 1월 개인소비지출(PCE) 발표에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 지난 1월 美 CPI가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PCE 물가지표도 인플레 우려를 자극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으며, Fed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고 있음. WSJ에 따르면, 1월 PCE가 전월대비 0.3% 상승해 전월의 0.2% 상승보다 상승세가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 다만, 전년동월대비로는 2.4% 상승해 전월의 2.6% 상승에서 둔화할 것으로 예상. 1월 근원 PCE 가격지수는 전월대비 0.4% 올라 전월의 0.2% 상승보다 높아지고, 전년동월대비로는 2.8% 올라 전월의 2.9% 상승보다 둔화할 것으로 예상. 전일 11% 넘게 급등했던 삼성생명(-5.83%)이 하락했고, NAVER(-4.41%), 카카오(-4.14%) 등 인터넷 대표주도 하락. 수은법 국회 통과 소식 속 최근 기대감에 시장에서 부각됐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3.60%), 한화시스템(-3.64%), 현대로템(-2.05%), 한국항공우주(-2.29%)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하락. 반면, 전일 이복현 금감원장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기준 미달 불량 상장사 상폐 검토 언급 소식에 기아(+5.78%), 현대차(+1.01%) 등 자동차 대표주, 기업은행(+2.71%), 우리금융지주(+2.62%), KB금융(+1.93%) 등 은행, 동양생명(+4.86%), 한화생명(+1.61%), DB손해보험(+3.13%), 삼성화재(+2.41%) 등 보험 등의 저PBR 관련주 상승. 한편, MSCI 지수 리밸런싱이 장 마감 후 진행될 예정. 에코프로머티(+1.95%), 한진칼(-10.86%)이 신규 편입되고, 호텔신라(-2.59%), F&F(+0.56%), 현대미포조선(-0.32%)은 제외.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중국, 홍콩, 대만이 상승한 반면, 일본은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이 5,130억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3,159억, 1,797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6,125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1,520계약, 4,178계약 순매수.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1원 하락한 1,331.5원을 기록.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일 대비 2.6bp 상승한 3.385%, 10년물은 전일 대비 3.3bp 상승한 3.475%를 기록.3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8틱 내린 104.50 마감. 개인과 금융투자가 각각 4,698계약, 4,102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5,721계약 순매수. 10년 국채선물은 전일대비 27틱 내린 112.35 마감. 외국인이 4,933계약 순매도, 금융투자는 3,134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삼성생명(-5.83%), 셀트리온(-5.42%), NAVER(-4.41%), 카카오(-4.14%), 삼성바이오로직스(-3.37%), LG화학(-2.48%), POSCO홀딩스(-1.37%), 메리츠금융지주(-1.31%) 등이 하락. 반면, 기아(+5.78%), KB금융(+1.93%), 하나금융지주(+1.80%), 신한지주(+1.52%), 포스코퓨처엠(+1.28%), 현대차(+1.01%), 삼성물산(+0.64%), 삼성전자(+0.27%), LG에너지솔루션(+0.25%)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하락이 우세. 의약품(-3.54%), 서비스(-1.80%), 기계(-1.41%), 화학(-1.19%), 철강/금속(-1.14%), 보험(-1.10%), 운수창고(-0.94%), 음식료(-0.72%), 건설(-0.70%), 유통(-0.38%), 제조(-0.36%) 등이 하락. 반면, 의료정밀(+4.52%), 전기가스(+1.38%), 운수장비(+1.26%), 증권(+1.15%), 통신(+0.95%), 종이/목재(+0.40%), 금융(+0.18%)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642.36P(-9.93P/-0.37%)

해외시황스크린

일본 마감시황
2월29일 일본 니케이지수는 BOJ 위원 매파적 발언 속 엔화 강세 등에 약보합 마감.이날 일본 니케이지수는 38,935.53엔(-0.70%)에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38,876.81엔(-0.84%)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후 낙폭을 만회하다 재차 낙폭을 확대하는 모습. 오후 들어 낙폭을 대폭 축소한 지수는 상승전환에 성공하며 39,250.12엔(+0.11%)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장 막판 하락전환하며 39,166.19엔(-0.11%)에서 거래를 마감.일본 니케이지수는 BOJ 위원 매파적 발언 속 엔화 강세 등에 하락하는 모습. 다카타 하지메 일본은행(BOJ) 정책 심의위원은 이날 시가현 금융경제간담회 연설을 통해 "마침내 2%라는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이 가시권에 들어왔다"며 "통화 완화 정책 종료를 포함한 유연한 조치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힘. 이어 "기업의 임금 및 가격 설정 행동과 해외 경제 불확실성에 계속 유의할 필요가 있겠지만, 수익률곡선통제(YCC)와 마이너스 금리를 해제하고 오버슈팅형 정책 약속에 대한 재고 등 출구 전략을 포함해 탄력적이고 유연한 대응 검토가 필요하다"고 언급. 이에 금일 아시아장에서 日 국채 금리가 상승세를 보였고 엔/달러 환율은 149엔 후반선까지 하락하며, 엔화 강세를 보인 가운데, 수출 관련주를 중심으로 일부 매도세가 출회. 美 증시 하락 영향도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 지난밤 뉴욕증시는 1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표 발표를 하루 앞두고 경계감이 지속된 가운데 3대 지수 모두 하락. 美 PCE 물가지수는 연방준비제도(Fed)가 선호하는 물가지표로 금리 인상이나 인하 유무를 판단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되고 있으며,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1월 PCE 가격지수가 전월대비 0.3% 상승해 전월의 0.2% 상승보다 상승세가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다만, 日 증시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 지속 속 대형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점은 증시의 낙폭을 제한.한편, 日 경제산업성은 올해 1월 소매판매가 13조1,410억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2.3% 증가했다고 밝힘. 이는 시장 예상치에 부합한 수치로 23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으며, 작년 12월에 기록한 2.1% 증가보다 수치가 개선됐음. 반면, 올해 1월 산업생산은 계절조정 기준으로 전월 대비 7.5% 감소했음. 시장 예상치인 7.3% 감소보다 더 부진했으며, 2개월 연속 시장 컨센서스 대비 지표가 좋지 못했음.업종별로 등락이 엇갈린 가운데, 유틸리티, 복합산업, 소프트웨어/IT서비스, 제약, 경기관련 서비스업 등이 하락한 반면, 은행/투자서비스, 에너지-화석연료, 보험, 자동차, 기술장비 업종 등은 상승. 종목별로는 도쿄가스(-4.32%), 소프트뱅크그룹(-1.46%), 파나소닉(-0.73%) 등이 하락한 반면, 도요타자동차(+1.43%),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그룹(+1.38%) 등은 상승.마감지수 : 니케이225 39,166.19엔(-41.84엔/-0.11%)
대만 마감시황
2월29일 대만 가권지수는 주요 기술주 상승 영향 등에 상승.대만 가권지수는 18,796.54(-0.31%)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18,794.62(-0.32%)에서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낙폭을 만회하며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임. 이후 18,880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보이다가 오후 장중 상승폭을 확대한 지수는 장막판 19,019.69(+0.88%)에서 고점을 형성한 뒤 상승폭을 다소 줄인 끝에 18,966.77(+0.60%)에서 거래를 마감.대만 가권지수는 주요 기술주 상승 영향 등에 상승하는 모습. 전일 가권지수가 평화의 날로 휴장한 가운데, 금일 주요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 특히, 대만 반도체 기업 미디어텍이 신형 칫셉 'Helio G91'을 발표하며 상승세를 기록했고, 윈본드 일렉트로닉스, 유나이티드마이크로, AU 옵트로닉스, 이노룩스 디스플레이 등 여타 기줄주들이 동반 상승세를 기록. 한편, 시가총액 1위 기업인 TSMC가 오는 6월 류더인 회장 퇴진에 맞춰 웨이저자 최고경영자(CEO) 체제 구축을 위해 대대적인 조직 개편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한편, 다음달 4일 중국의 연례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개막하는 가운데, 미중 관계나 양안(중국과 대만) 문제 관련 언급, 사회 통제 분위기의 지속 여부에 대해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는 모습.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소프트웨어/IT서비스, 금속/광업, 산업서비스, 경기관련 서비스업, 기술장비, 소매 업종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미디어텍(+2.24%), 윈본드 일렉트로닉스(+1.82%), 유나이티드마이크로(+1.45%), AU 옵트로닉스(+1.45%), 이노룩스 디스플레이(+0.33%) 등이 상승.마감지수 : 가권지수 18,966.77P(+112.36P/+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