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마감시황
제목 : 뉴욕 마감시황 2/7(현지시간) 뉴욕증시 상승, 다우(+0.78%)/나스닥(+1.90%)/S&P500(+1.29%) 파월 Fed 의장 디스인플레이션 발언(+), Fed 추가 금리 인상 우려 지속(-) 이날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했지만, 디스인플레이션 발언 등이 긍정적으로 해석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78%, 1.29%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1.90% 상승. 파월 Fed 의장 발언이 시장 예상을 벗어나지 않은 가운데, 디스인플레이션 언급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 파월 의장은 이날 워싱턴DC 이코노믹클럽 행사에 첨석해 “고용 보고서로 인해 현재 인플레이션 상 황에 대한 평가는 달라지지 않았다며, 여전히 ‘디스인플레이션’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다만, “주택, 서비스 부문에서는 아직 인플레이션 완화 추세가 보이지 않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목표치(2%)까지 끌어내리기 위한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힘. 이어 “이는 순조롭지 않을 것이며 우리는 2년여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언급했음. 아울러 연내 금리 인하를 기대해온 시장이 틀렸느냐는 질문에 "데이터가 강하다면 우리가 예측한 것보다 더 높게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으며, 최근 지표들과 관련해 "노동시장이 해치지 않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 있으니 좋은 것이라며, 경제가 강하기때문에 노동시장도 강한 것"이라고 평가했음. 시장에서는 이번 파월 의장 발언이 앞서 2월 FOMC에서 나온 발언과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되면서 안도감이 형성되는 모습. Fed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은 지속되는 모습.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한 인터뷰에서 고용이 크게 늘었다는 것은 Fed가 인플레이션 억제와 관련해 여전히 해야 할 일이 있다는 의미라며, 기준금리를 5.4%까지 인상해야 한다는 종전 입장을 유지했음.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전일 인터뷰에서 이번 고용 보고서와 같은 상황이 계속 이어진다면 "지금 예상보다 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는 의미일 것"이라고 언급했음. 주 요 기업들의 실적은 대체로 예상치를 상회하는 모습. 렌터카업체 허츠는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으며, 영국계 석유업체 BP는 지난해 역대 최대 순이익을 기록. 팩트셋에 따르면,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기업 중에서 69%의 기업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순이익을 발표한 것으로 전해짐. 이날 美 상무부가 발표한 지난해 12월 무역수지 적자는 674억 달러로 전월대비 10.5% 증가했음. 12월 수출은 2,502억 달러로 0.9% 감소한 반면, 수입은 3,176억 달러로 1.3% 증가.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수출은 전년대비 17.7% 늘어난 3조97억 달러, 수입은 16.3% 증가한 3조9,578억 달러로 무역수지 적자는 9,481억 달러를 기록. 지난해 무역수지 적자는 역대 최대치였던 전년보다 12.2% 커지면서 최대 규모 적자 기록을 경신했음. 한편, 이날 저녁 조 바이든 美 대통령의 국정연설이 예정돼 있는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인플레이션 대응 등 경제 부문에 대한 입장을 비중 있게 다룰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또한, 연방정부 부채 한도 상향을 비롯해 핵심 입법 과제에 대한 의회의 협조도 요청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날 국제유가는 파월 Fed 의장 발언 소화 속 中 원유 수요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3.03달러(+4.09%) 급등한 77.14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파월 의장 발언 소화 속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혼조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상승.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운수, 에너지, 복합산업, 산업서비스, 기술장비, 의료 장비/보급, 소프트웨어/IT서비스, 보험, 은행/투자서비스, 재생에너지, 제약 업종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반면, 음식료, 소매, 자동차 업종 등은 하락. 종목별로는 전일 장 마감 후 구글이 오픈AI의 챗GPT에 대항할 '바드'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수주일 안에 출범하겠다고 선언하면서 구글 모회사 알파벳A(+4.61%)가 큰 폭으로 상승했고, 마이크로소프트(+4.20%)도 검색엔진 빙(Bing)에 AI 챗봇을 장착한다고 발표하면서 큰 폭 상승. 바이두(+12.18%)도 AI 챗봇 ‘어니 봇’을 출시할 것이라는 소식에 급등하는 등 챗봇 관련주들이 강세. 줌(+9.85%)은 전체 직원의 15%에 해당하는 약 1,300명을 감원할 계획이라고 밝힌 가운데 급등. 애플(+1.92%), 메타(+2.99%), 넷플릭스(+0.41%), 엔비디아(+5.14%), 테슬라(+1.05%) 등 주요 기술주들도 대부분 상승. 허츠(+7.47%)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상승했고, BP(+8.35%)는 지난해 역대 최대 순이익을 기록하면서 급등. 반면, 전일 10억2,500만 달러 증자를 통해 부채를 축소하겠다고 발표한 베드배스앤드비욘드(-48.63%)는 폭락. 다우 +265.67(+0.78%) 34,156.69, 나스 닥 +226.34(+1.90%) 12,113.79, S&P500 4,164.00(+1.29%), 필라델피아반도체 3,124.15(+3.12%) Copyright ⓒ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미국 테마시황
제목 : 미국 테마시황 2/7(현지시간)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추가 금리 인상 시사에도 디스인플레이션 발언 등에 상승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상승. 특히, 전일 장 마감 후 구글이 오픈AI의 챗GPT에 대항할 '바드'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수주일 안에 출범하겠다고 선언하면서 구글 모회사 알파벳A(+4.61%)가 큰 폭으로 상승했고, 마이크로소프트(+4.20%)도 검색엔진 빙(Bing)에 AI 챗봇을 장착한다고 발표하면서 큰 폭 상승하는 등 챗봇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인터넷, 컴퓨터 등의 테마가 상승. 줌(+9.85%)이 전체 직원의 15%에 해당하는 약 1,300명을 감원할 계획이라고 밝힌 가운데 급등하는 등 S/W 및 IT 서비스 테마도 상승했고, 애플(+1.92%) 등 모바일, 넷플릭스(+0.41%) 등 미디어, 엔비디아(+5.14%) 등 반도체 등 주요 기술주 관련 테마도 상승. 국제유가 급등 속 엑슨 모빌(+2.86%), 셰브론(+2.62%) 등 정유, 린데(+4.42%) 등 화학 테마가 상승. 이 외 페이팔(+1.09%) 등 전자결제, 액티비전 블리자드(+5.62%) 등 게임, 머크(+1.59%) 등 제약/바이오, JP모건체이스(+1.22%) 등 은행, 아메리칸 익스프레스(+1.26%) 등 카드, 메트라이프(+1.67%) 등 보험, 포드(+2.36%) 등 자동차, 에어비앤비(+1.13%) 등 여행 등의 테마가 양호한 모습. 금 가격 상승 속 뉴몬트(+2.35%) 등 금(金) 테마도 상승. 반면, US스틸(-6.58%) 등 철강, 유니레버(-1.39%) 등 소비재, 맥도날드(-0.22%) 등 음식료, 버라이즌(-1.77%) 등 통신, 코인베이스(-4.25%) 등 암호화폐 등의 테마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 관련 테마분석 인터넷 대표주 국내 인터넷 서비스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인터넷산업 대표기업군. 이들 소수 업체들이 상위 사업자군을 형성하며, 시장 지배력을 더욱 키워나가고 있는 상황임. 이중 구글에 이어 네이버가 국내 포털 시장 점유율 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광고주들의 특성상 많은 트래픽이 모이는 상위 포털 업체에 광고가 집 중되는 특성이 있음. - 히스토리 2023-02-06 美 고용 지표 호조 속 Fed 긴축 조기 중단 기대감 후퇴 및 주요 기술주 실적 부진 여파 등에 하락 2023-02-03 美 주요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주도주 : NAVER, 카카오) 2023-02-02 Fed 금리 인상 속도 조절·파월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 분석 등에 따른 美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주도주 : 카카오, NAVER)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히스토리 2023-02-07 데이터센터 서버용 D램 수요 회복 전망 등에 상승(주도주 : DB하이텍, SK하이닉스) 2023-02-06 美 고용 지표 호조 속 Fed 긴축 조기 중단 기대감 후퇴 및 주요 기술주 실적 부진 여파,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 등에 하락 2023-02-02 Fed 금리 인상 속도 조절·파월 의장 비둘기파적 발언 분석 등에 따른 美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주도주 : DB하이텍,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은행 은행은 기업, 가계 등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예금이나 금융채 등의 형식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자금이 필요한 각 경제주체에 자금을 공급하는 자금의 중개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민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은행업은 일반기업과 달리 고도의 공공성이 요구되는 사업임. 이 밖에 환업무, 지급보증 등 광범위한 금융업무를 취급하고 있고, 국고수납, 보호예수 등 은행법에서 정하는 각종 부수업무를 취급하고 있으며, 신탁업무, 신용카드업무, 방카슈랑스 등 비은행 업무도 일부 취급하고 있음. - 히스토리 2023-02-06 단기 주가 급등에 따른 피로감 및 尹 대통령, 공공재 발언 영향 등에 하락 2023-01-25 얼라인파트너스, 7개 은행지주 주주제안 안건 사전 공개 소식 속 상승(주도주 : KB금융, 제주은행, 하나금융지주, 신한지주) 2023-01-20 美 연준 긴축 가능성 재부각 등에 상승(주도주 : DGB금융지주, JB금융지주, 제주은행)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정유 원유 수출입, 운송 및 저장과 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을 생산하는 종목군. - 히스토리 2023-01-19 올해 정유산업 호황 지속 전망 등에 상승(주도주 : S-Oil, GS) 2023-01-13 국제유가 상승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S-Oil, GS, SK이노베이션) 2023-01-05 국제유가 이틀 연속 급락 영향 등에 하락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AI 챗봇(챗GPT 등) 사용자가 메시지를 보내면 봇(bot)이 정해진 응답 규칙을 바탕으로 메신저를 통해 대답할 수 있도록 구현된 시스템. 질문을 입력하면 인공지능(AI)이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일상언어로 사람과 대화를 하며 해답을 주는 대화형 메신저. 대표적으로 미국의 인공지능 연구소인 오픈AI의 챗GPT(chatGPT) 등이 있으며, 금융, 고객상담, 교육, 대화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음. - 히스토리 2023-02-07 구글, AI 챗봇 바드 출시 공식 발표 소식 등 AI 챗봇 시장 경쟁 본격화 등에 상승(주도주 : 비트나인, 코난테크놀로지, 유엔젤, 브리지텍) 2023-02-03 네이버, 상반기 ‘서치GPT’ 출시 예고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주도주 : 플리토, 영림원소프트랩, NAVER, 이스트소프트) 2023-01-30 챗GPT 신드롬 및 글로벌 주요 기업 챗봇 사업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주도주 : 플리토, 바이브컴퍼니, 마인즈랩, 코난테크놀로지) 관련종목 리스트 바로보기 Copyright ⓒ 인포스탁(www.infostoc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