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뉴스시세 메인

주요뉴스

뉴욕증시, 국채금리 상승에 장초반 혼조세

미국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28일(현지시간) 은행권 위기 우려가 다소 진정된 가운데 국채금리 상승 압박으로 장초반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이날 오전 10시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0.49포인트(0.09%) 오른 3만2462선에 움직이고 있다. 반면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0.69포인트(0.27%) 하락한 3966선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83.99포인트(0.71%) 낮은 1만1684선을 기록 중이다.현재 S&P500에서 금리에 민감한 기술, 통신, 임의소비재 관련 업종이 하락세인 반면, 에너지, 금융 등 나머지 8개 업종은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제 2의 실리콘밸리은행(SVB)'으로 지목돼온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SPDR S&P지역은행 ETF는 0.5%오른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중국 알리바바는 6개 사업그룹으로 분할한다는 회사 구조개편 발표에 9%가량 올랐다. 향후 6개 독립그룹은 각각 최고경영자(CEO) 책임제 하에 독자적인 자금조달, 기업공개(IPO) 등도 추진하게 된다. 리프트는 공동 창업자인 로건 그린 CEO와 존 짐머 사장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다고 밝히며 5%가량 상승 중이다. 월그린스부츠얼라이언스는 예상을 웃도는 실적 발표로 3%가량 오른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반면 금리에 민감한 기술주는 약세를 보이고 있다. 구글 알파벳은 2%, 메타는 1.9%가량 밀렸다. 엔비디아, AMD도 2~3%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테슬라는 미 교통당국이 안전벨트가 느슨해지는 결함과 관련 조사에 착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1%이상 미끄러졌다.투자자들은 국채 금리 움직임을 주시하는 한편, 이날부터 시작되는 미 상·하원의 SVB발 은행권 위기 관련 청문회와 이번주 연방준비제도(Fed) 당국자들의 연설,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를 비롯한 주요 경제지표 발표 등을 대기하고 있다. 경제매체 CNBC는 "2년물 국채금리가 4%이상으로 올라가면서 투자자들은 더 높은 금리가 경제를 불황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는 두려움에 주목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뉴욕채권시장에서 국채금리는 상승세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2년물 국채 금리는 4.03%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10년물 금리는 3.56%선을 나타내고 있다.이번주에는 시장 변동성에 영향을 줄 일정들도 대거 예정돼있다. 미 상원 은행위원회와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는 이날부터 이틀간 연이어 최근 SVB 파산 사태 이후 확산한 은행권 위기 등에 대한 청문회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는 마이클 바 Fed 금융감독 부의장 등이 출석해 증언할 예정이다. 이번 주 필립 제퍼슨 이사, 리사 쿡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등도 연설에 나선다.Fed가 선호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2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 미국의 작년 4분기 성장률 확정치 등 경제 지표도 공개된다. PCE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7%, 전월 대비 0.4% 상승할 것으로 추산된다. 4분기 성장률 확정치는 앞서 1월 공개된 예비치 2.9%(연율), 지난달 공개된 수정치 2.7%에서 추가 하향될 지 관건이다.현재 시장에서는 금리 동결과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 전망으로 나뉘어져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오전 현재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Fed가 5월 FOMC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50.8% 반영하고 있다. 베이비스텝 전망은 49.2%다.JP모건의 휴 짐버 전략가는 "시장의 동결전망은 옳다"면서도 연내 금리 인하를 위해서는 상당한 경제 충격이 전제돼야 하는 만큼 가능성이 낮다고 선을 그었다. 블랙록 투자연구소의 웨이 리 수석전략가는 "올해 금리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이날 공개된 미국의 1월 주택가격은 모기지 금리 인상으로 주택시장이 둔화하며 전월보다 하락했다. S&P코어로직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2% 하락했다. 7개월 연속 하락세다. 전년 대비 기준으로는 3.8% 올랐다.유럽증시는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영국 FTSE지수는 전장 대비 0.2% 오른 수준에 움직이고 있다. 독일 DAX지수는 0.05%, 프랑스 CAC지수는 0.04% 올라 보합권을 기록 중이다. 프랑스 증시에서는 프랑스 검찰이 BNP파리바를 비롯한 은행 5곳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에 나섰다는 소식에 은행주 중심으로 낙폭이 확인된다.뉴욕=조슬기나 특파원 seul@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해외증시뉴스

최신뉴스

국내시황스크린

증권사신규추천
없음
기술적분석-코스피
- 코스피 시장 A -1. 고점돌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KEC(092220) LX세미콘(108320) DB하이텍(000990) 포스코스틸리온(058430) 유니온(000910) KG케미칼(001390) 두산밥캣(241560) 삼영무역(002810) 예스코홀딩스(015360) 두올(016740)2. 고점돌파 종목(1년 기준) 이수페타시스(007660) 이엔플러스(074610) LS(006260) 삼아알미늄(006110) 영풍제지(006740) 성안(011300)3. 첫 상한가 종목(3개월기준)없음 4. 연속 상한가 종목없음 5. 당일 거래 급증 종목(10일 평균 거래대비) 이수페타시스(007660) 이엔플러스(074610) KEC(092220) LX세미콘(108320) LG디스플레이(034220) 한국항공우주(047810) 포스코스틸리온(058430) 유니온(000910) SK디앤디(210980) LS(006260) 롯데케미칼(011170) 한국카본(017960)6. 단기 낙폭 과대 종목(10일 기준)없음 7. 보조지표① 단기 골든 크로스 MA(5,20) LG디스플레이(034220) 포스코스틸리온(058430) 롯데케미칼(011170) 제주은행(006220) 현대글로비스(086280) CJ제일제당(097950) 효성티앤씨(298020) 엠씨넥스(097520) 넥센타이어(002350) LX홀딩스(383800) 한국주강(025890) 이건산업(008250)② 중기 골든 크로스 MA(20,60) 대덕전자(353200) 쌍용C&E(003410) 동원시스템즈(014820) ③ 장기 골든 크로스 MA(60,180)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950210) 아남전자(008700)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돌파 이수페타시스(007660) KEC(092220) 대우조선해양(042660) 쌍용C&E(003410) SJM홀딩스(025530) 한국전자홀딩스(006200) GS글로벌(001250) ⑤ MACD Osc(12,26,9) 0선 상향돌파 이수페타시스(007660) POSCO홀딩스(005490) KEC(092220) LG디스플레이(034220) 포스코스틸리온(058430) 하나금융지주(086790) 제주은행(006220) 삼성중공업(010140) 한국조선해양(009540) LIG넥스원(079550)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 대우조선해양(042660)⑥ Stochastic slow(10,5,5) %K, %D 상향돌파 SK디앤디(210980) 삼아알미늄(006110) 팬오션(028670) 이아이디(093230) 씨에스윈드(112610) 한화시스템(272210) 금호석유(011780) HL만도(204320) 하이트진로(000080) 현대위아(011210) 현대일렉트릭(267260) GS(078930)⑦ Sonar(10,5) Signal선 상향돌파 LG화학(051910) LG에너지솔루션(373220) LG전자(066570) 삼성SDI(006400) SK이노베이션(096770) NAVER(035420) KB금융(105560) 카카오(03572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현대차(005380) 두산에너빌리티(034020) SK디앤디(210980)⑧ CCI(9) 0선 상향돌파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현대차(005380) SK디앤디(210980) 신한지주(055550) 현대로템(064350) 삼성엔지니어링(028050) 하이브(352820) 현대미포조선(010620) 삼성중공업(010140) 현대중공업(329180) 한국조선해양(009540) S-Oil(010950)⑨ RSI(14,9) Signal선 상향돌파 LG화학(051910) KB금융(105560)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SK디앤디(210980) 하나금융지주(086790) 삼성엔지니어링(028050) 하이브(352820) 카카오뱅크(323410) 삼성중공업(010140) 두산밥캣(241560) S-Oil(010950) 팬오션(028670)- 코스피 시장 B -1. 저점하회 종목(3개월기준, 1년 기준제외) KT&G(033780) 현대홈쇼핑(057050) 종근당홀딩스(001630) NICE(034310) DL건설(001880)2. 저점하회 종목(1년 기준) IHQ(003560) 신한알파리츠(293940) 한국자산신탁(123890) HL D&I(014790) 인바이오젠(101140)3. 첫 하한가 종목(3개월기준)없음 4. 연속 하한가 종목없음 5. 단기 상승폭 과대 종목(10일 기준, 투자경고종목 포함) 금양(001570) 이수화학(005950) 삼아알미늄(006110) 6. 보조지표① 단기 데드 크로스 MA(5,20) 현대로템(064350) KT(030200) 솔루엠(248070) LG유플러스(032640) 효성첨단소재(298050) 금비(008870) HDC현대산업개발(294870) 디아이씨(092200) 우진(105840)② 중기 데드 크로스 MA(20,60) 갤럭시아에스엠(011420) ③ 장기 데드 크로스 MA(60,180)없음 ④ 일목균형표(9,26)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돌파 두산에너빌리티(034020) 세아베스틸지주(001430) SK네트웍스(001740) 일신방직(003200)⑤ MACD Osc(12,26,9) 0선 하향돌파 NAVER(035420) 현대차(005380) 삼천리(004690) 미래산업(025560) HLB글로벌(003580)⑥ Stochastic slow(10,5,5) %K, %D 하향돌파 하나금융지주(086790) SK텔레콤(017670) LG유플러스(032640) 한미사이언스(008930) 제일기획(030000) 덴티움(145720) 한미약품(128940) KTcs(058850) 일동제약(249420) SBS(034120) KTis(058860) 남양유업(003920)⑦ Sonar(10,5) Signal선 하향돌파 셀트리온(068270) SK텔레콤(017670) 일진전기(103590) LS ELECTRIC(010120) 와이투솔루션(011690) 코오롱플라스틱(138490) 유니켐(011330) ⑧ CCI(9) 0선 하향돌파 셀트리온(068270) 삼성SDI(006400) LG유플러스(032640) 아이에스동서(010780) 한미사이언스(008930) 미래산업(025560) 에스원(012750) 그린케미칼(083420) 일성신약(003120) 에이프로젠(007460) 일신방직(003200) ⑨ RSI(14,9) Signal선 하향돌파 셀트리온(068270) 일진머티리얼즈(020150) 한농화성(011500) 제일기획(030000) 유니퀘스트(077500) 유니켐(011330)*기간내 첫 상한가(하한가) 종목 : 3개월 기준 당일 최초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연속 상한가(하한가) 종목 : 2일 이상 연속으로 상한가(하한가)를 기록중인 종목 *당일 거래 급증 종목 : 최근 10거래일 평균 대비 당일 거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한 종목 *단기 낙폭(상승폭) 과대 종목 : 최근 10거래일 기준 하락(상승) 일수 및 하락폭(상승폭)이 과대한 종목 *관리종목, 우선주 등은 적출기준에서 제외함. *적출되는 종목수가 많은 경우 일정 조건(시가총액, 거래대금)에 따라 종목을 압축하며, 증시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수준은 가변적임. ※경고 : 본 정보는 시세 또는 거래량 등 기술적으로 특징있는 종목들을 분석, 적출한 것으로, 해당 종목에 대한 매수(매도) 추천 또는 신호가 아닙니다.

해외시황스크린

뉴욕 마감시황
3/27(현지시간) 뉴욕증시 혼조, 다우(+0.60%)/나스닥(-0.47%)/S&P500(+0.16%) 美 SVB 매각 속 은행 리스크 일부 완화(+), 기술주 약세(-)이날 뉴욕증시는 美 실리콘밸리은행(SVB) 매각 작업이 마무리되고 당국이 추가로 유동성을 제공할 것으로 알려지며 은행권 리스크가 일부 완화된 가운데 혼조세를 기록.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60%, 0.16% 상승한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47% 하락.美 SVB 매각 성공 소식에 은행 리스크가 일부 완화되는 모습. 미국 연방예금공사(FDIC)는 전일 퍼스트시티즌스가 165억 달러(약 21조4,000억원)에 SVB의 모든 예금과 대출을 인수한다고 발표했음. 인수 주체기업인 미국 중소형 은행 퍼스트시티즌스는 SVB 자산을 약 77% 할인된 가격에 매수한 것이 호재로 작용하며 50% 넘게 폭등했음. 미국 당국이 은행들에 대한 긴급 유동성 대출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짐. 주요 외신에 따르면, 연방 당국은 은행기간대출프로그램(BTFP)으로 알려진 은행 대출 프로그램을 확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BTFP는 적격 금융 기관에 1년 동안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 등을 담보로 대출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 직후 위기가 다른 은행권으로 전이되는 것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 당국이 제공한 프로그램임. 이에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 키코프 등 여타 지역 은행들도 큰 폭으로 상승했고, 씨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대형 은행주들도 동반 상승. 아울러 지난주 금요일 유럽시장에서 급락했던 도이체방크의 주가가 크레디트스위스(CS)은행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분석에 반등한 점도 은행 리스크를 완화시키는 모습.마이클 바 연방준비제도(Fed)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은 이날 의회에 출석해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은 잘못된 경영의 전형적인 사례라며, 미국 은행 시스템은 탄탄하고 강한 자본과 유동성을 갖추고 있다고 언급했음.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은행권 위기로 경기침체 우려가 커졌냐는 질문에 “확실히 우리는 더 가까워졌다”고 진단했음. 카시카리 총재는 “은행권의 스트레스가 얼마나 광범위한 신용경색을 일으킬지는 확실하지 않다”며, “이에 따른 경기 둔화 여부를 상세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언급.다만, 주요 기술주들이 금리 상승 속 부진한 모습을 보임. 미국 장기금리가 상승하면서 상대적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고PER(주가 수익률)의 기술주에 매도세가 유입됐음. 한편, 이번주 후반 발표되는 물가 지표를 앞두고 관망 심리가 커지는 모습.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Fed가 선호하는 2월 근원 PCE 가격지수가 전월대비 0.4% 상승하고, 전년동월대비로는 4.7%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전월대비 수치는 1월의 0.6%보다는 둔화하겠지만, 전년동월대비 수치는 1월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이날 국제유가는 쿠르드 수출 중단 소식 등에 급등.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5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3.55달러(+5.13%) 급등한 72.81달러에 거래 마감.이날 채권시장은 美 SVB 매각 속 위험자산 선호 심리 등에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혼조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하락.다우 +194.55(+0.60%) 32,432.08, 나스닥 -55.12(-0.47%) 11,768.84, S&P500 3,977.53(+0.16%), 필라델피아반도체 3,083.57(-1.21%)
반도체 마감시황
3월27일 아시아 현물시장에서 거래된 D램 현물 가격은 하락세를 나타냈으며, 낸드플래시메모리가격은 약보합세를 보임.반도체 동향 (단위 : 달러)SLC 2Gb 256MBx8 1.016(-0.10%)SLC 1Gb 128MBx8 0.924(-0.65%)MLC 64Gb 8GBx8 3.841(0.00%)MLC 32Gb 4GBx8 2.155(0.00%)3D TLC 256Gb 2.132(-1.93%)DDR Spot Price? 0.000(0.00%)LPDDR 4 16Gb 4.296(-0.58%)SLC 1Gb 128MBx8 1.048(-0.19%)MLC 64Gb 8GBx8 3.948(0.00%)MLC 32Gb 4GBx8 2.148(0.00%)

증권사 리포트

시황 종목 업종 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