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뉴스시세 메인

주요뉴스

[뉴욕 프리뷰] 美 국채금리 후퇴 속 주가선물 반등...액티비전블리자드·애플·엔비디아↑

[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미국의 경기 방향을 엿볼 수 있는 지표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의 발언을 앞두고 22일(현지시간) 미 주가지수 선물이 소폭 상승하고 있다.전날 수년래 최고로 치솟았던 미 국채 금리가 후퇴하는 틈을 타 지수는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월가 [사진=블룸버그] 미국 동부 시간으로 22일 오전 8시 35분 기준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E-미니 S&P500 선물은 전장 대비 13.50(0.31%) 오른 4385.50에, E-미니 다우 선물은 55.00(0.16%) 상승한 3만4392.00에 거래되고 있다. E-미니 나스닥100 선물은 75.75(0.51%) 전진한 1만4938.50에 거래되고 있다.지난 20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나, 연내 한 차례 추가 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등 예상보다 매파적 행보를 예고했다. 고금리가 예상보다 장기화할 것이란 전망에 채권시장에서 패닉셀이 일어났고 미국의 장기 금리(채권 가격과 반대)는 전날 15년여 만에 최고로 치솟았다.미 국채 금리 10년물 금리는 21일 4.48%로 15년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2년물 금리도 5.19%로 지난 2007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다.그 여파에 전날 뉴욕 증시의 3대 지수는 모두 1% 넘게 하락했다. 주간으로도 3대 지수는 하락 마감할 전망이다. 이번 주 들어 사흘 동안 S&P500지수는  2% 넘게 밀렸고, 연준 긴축에 더 민감한 기술주로 구성된 나스닥100의 경우 같은 기간 낙폭이 3%로 더 컸다. 다우 지수도 1.6% 빠졌다. 다만 일각에서는 연준이 매파적 기조를 이어갈지에 의구심을 표시하고 있다. 마크 헤펠레 UBS 글로벌 자산관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업데이트된) 연준의 점도표는 금리 상승 위험을 보여주고 있지만, 우리는 금리 인상 사이클이 끝났을 가능성이 크며 연준이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를 유지한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다양한 요인이 4분기 미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며 "추세 이하 성장과 낮은 핵심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현재 금리 선물 시장은 11월 금리 동결 가능성을 74%, 12월 동결 가능성은 55%로 반영하고 있다. 전날 수년 만에 최고로 치솟았던 미 국채금리는 이날 소폭 하락하고 있다. 현재 10년물 금리는 전장 대비 0.8bp(1bp=0.01%포인트) 밀린 4.472%, 2년물 금리는 3.2bp 내린 5.116%를 각각 가리키고 있다.국채 금리가 조정받는 가운데, 전날 2% 넘게 하락했던 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등 대형 기술주의 주가는 기술적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액티비전블리자드와 마이크로소프트 로고 [사진=로이터 뉴스핌] 투자자들은 이날 나올 지표와 연준 인사들의 발언에 주목하고 있다. 미 증시 정규장 개장 후 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마킷) 글로벌의 9월 서비스·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발표가 예정돼 있다. 예상보다 강력한 수치가 나오면 연준의 매파적 기조를 뒷받침할 수 있어 시장은 경계하고 있다.닐 카슈카리 미네아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 리사 쿡 연 이사도 이날 발언이 예정돼 있다. 더불어 포드·제너럴모터스(GM)·스텔란티스 등 미국 3대 자동차 제조사를 대상으로 파업 중인 전미자동차노조(UAW)가 이날 정오까지 중대한 진전이 없을경우 파업 참여 공장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막판 협상 타결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미국 내 신차 재고 부족이 가격 압박으로 이어지며 최근 둔화세를 보이는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어 시장은 예의주시하고 있다.개장 전 특징주로는 ▲액티비전 블리자드(ATVI)의 주가가 개장 전 94.15달러로 1.95% 오르고 있다. 영국 경쟁시장청(CMA)이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에 대해 독점 우려가 해소됐다며 합병 승인 가능성을 내비친 영향이다. 영국의 규제당국인 CMA는 성명서를 내고 "MS가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권한을 프랑스 경쟁사 유비소프트에 일부 양도하기로 제안하면서 독점 우려가 해소됐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사실상 CMA가 합병을 승인 할 것이라는 신호로 풀이했다. 미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인 ▲알리바바(BABA, 4.3%) ▲핀듀오듀오(PDD, 4.3%) ▲바이두(BIDU, 3.9%) 등의 주가도 일제히 오름세다. 중국의 경제 회복 기대감이 이들 주가에 훈풍을 불어넣었다.  koinwon@newspim.com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해외증시뉴스

최신뉴스

국내시황스크린

증권사신규추천
[키움]토마토시스템(393210) : - DB부터 UI, 테스트까지 자동화 솔루션 구축. 프로젝트 당 투입 인원 급감- 25년 이후 확장성 및 수익성 극대화 기대삼영(003720) : - 하반기부터 전기차용 커패시터 필름 생산으로 턴어라운드 기대- 올해 실적 눈높이는 낮추지만, 24년부터 큰 폭의 성장세 기대스마트레이더시스템(424960) : - 모빌리티 4D레이더의 선두주자- 산업용으로 빠른 실적 성장 기대비에이치(090460) : - 하반기 실적 성수기 진입- 다가오는 모멘텀, 주가 우상향 전망드림텍(192650) : - 의료기기 부문 성과 본격화에 따른 기업가치 재평가 기대- 합병 통해 신사업(AI, 로봇, 헬스케어) 역량 강화 주목하나기술(299030) : - 9~10월 국내 배터리 3사향 장비 수주 기대- Freyr사의 ESS향 반고체 조립 및 활성화 공정 턴키 등 해외 수주 기대감 확대현대제철(004020) : - 중국 정부의 부동산 경기 부양과 위안화 방어노력으로 중국 철강업황은 바닥에서 반등시도 중- 최근 주가도 오랜박스권 탈출하며 52주 신고가, 그러나 여전히 12mf PBR 0.25배 불과현대모비스(012330) : - 수소연료전지 사업 현대차 이관 추진에 따른 전동화 사업부 흑자 전환 기대- 완성차 투자심리 위축에 대한 투자 대안으로서 견고한 하방경직성 확인되고 있음NAVER(035420) : - 네이버 단 23 컨퍼런스를 통해 공개된 다양한 동사 AI 기술 및 서비스 등을 복기해볼 때 현시점은 동사에 대한 투자 비중을 적극적으로 늘릴 시점임을 제언- 동사 AI 서비스는 검색과 커머스 등 주요 버티컬 서비스와 연계해 심리스한 과정을 통해 유저 엔드포인트까지 귀결되는 전략으로 총평할 수 있음삼성전자(005930) : - 4분기 메모리 판매 가격 상승과 비용 감소 등으로 인해, 큰 폭의 수익성 개선 예상- 파운드리 부문도 신규 SoC 제품 양산하며, 영업흑자 전환에 성공할 전망[유안타]한올바이오파마(009420) : - 10/11월 이뮤노반트의IMVT-1402 임상 1상 다회 투약 결과 확인- RA, ITP, GD등 FcRn 억제제들의 임상 진행중. 적응증별 임상 성공 시 시장 확대 기대- 바토클리맙(IMVT-1401)은 중국 파트너사인 CSPC가 중증 근무력증(gMG)로 중국 허가를 진행중으로 연말 허가 예상기업은행(024110) : - 4분기 배당수익률이 금융업종 전체에서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9월 18일 종가 기준 8.8%)- 부동산PF 및 대체투자 익스포저 제한적, 전체 여신 중 PF 비중은 5% 미만- 적극적인 선제적 충당금 적립으로 경상 대손비용률도 안정적으로 유지신세계인터내셔날(031430) : - 2023년 신규 출시한 7개 브랜드 효과로 내년 해외패션 부분 고성장이 예상- 18개 코스메틱 브랜드를 유통, 수입/국내 브랜드로 다변화가 강점.- 중국 단체관광객 방한으로 코스메틱 매출 증가 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 기대제외 종목[하나증권]와이지엔터테인먼트(122870) : 손절가 도달로 제외(단기 투자유망종목)[키움]토마토시스템(393210) : 종목 교체로 제외엠플러스(259630) : 종목 교체로 제외삼영(003720) : 종목 교체로 제외넥스트칩(396270) : 종목 교체로 제외스마트레이더시스템(424960) : 종목 교체로 제외피엔티(137400) : 종목 교체로 제외원익IPS(240810) : 종목 교체로 제외KCC(002380) : 종목 교체로 제외현대모비스(012330) : 종목 교체로 제외NAVER(035420) : 종목 교체로 제외[유안타]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 : 종목 교체로 제외LG에너지솔루션(373220) : 종목 교체로 제외셀트리온(068270) : 종목 교체로 제외
코스피 마감시황
9/22 KOSPI 2,508.13(-0.27%)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속 美 국채금리 급등(-), 외국인/기관 순매도(-), 개인 순매수(+)밤사이 뉴욕증시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속 국채금리 급등 등에 큰 폭으로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주요국 금리 결정 소화 속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500선이 붕괴되며 2,491.45(-23.52P, -0.94%)로 하락 출발. 장초반 낙폭을 키워 2,486.14(-28.83P, -1.15%)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낙폭을 만회하는 모습. 오전 중 2,500선을 회복한 뒤 2,505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오후 들어 낙폭을 더욱 축소해 2,513.26(-1.71P, -0.07%)에서 고점을 형성. 이후 2,510선 부근에서 소폭 하락세를 이어가다 결국 2,508.13(-6.84P, -0.27%)으로 장을 마감.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장기화 우려가 지속된 가운데, 美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이어간 점이 증시에 악재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2거래일 연속 순매도. 특히,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매도세를 이어가며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는 모습. 다만, 개인이 5거래일 연속 순매수한 가운데, 최근 지수 급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된 데다 중국 등 중화권 증시가 강세를 보이면서 지수 낙폭은 제한된 모습.지난 20일(현지시간) Fed가 9월 FOMC 회의에서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현 5.25~5.50%로 동결했지만,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긴축 장기화 우려가 이어지고 있음. Fed 위원들은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에서 올해 말 기준금리가 5.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내년 금리 전망치 중간값은 5.1%로 지난 6월의 4.6%에서 0.5%포인트 높아졌음. 파월 의장은 FOMC 회의 후 기자회견을 통해 “적절하다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준비가 돼 있으며,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향해 지속적으로 내려가고 있다고 자신할 때까지 제약적 수준에서 금리를 유지할 계획이다”라고 언급. 아울러 밤사이 발표된 美 고용지표도 여전히 양호한 수준을 보이면서 긴축 우려를 키우는 모습.시장에서는 5%를 웃도는 고금리 환경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됐고, 美 국채금리는 연일 역사적 수준을 경신. 밤사이 美 10년물 국채금리는 2007년 이후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고, 금리 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도 2006년 이후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 이에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기술주들이 부진한 모습을 이어가면서 증시 하락을 이끌었음.올해 국내 IPO 최대어로 꼽히는 두산로보틱스 공모주 청약이 마감된 가운데,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청약에서 총 33조원이 넘는 증거금이 모인 것으로 전해짐.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이 하락한 반면, 중국, 대만, 홍콩 등은 상승. 한편, 일본은행(BOJ)은 이날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단기금리를 마이너스(-) 0.1%로 동결하고, 장기금리 지표인 10년물 국채 금리를 0% 수준으로 유도하는 금융완화 정책을 지속하기로 발표.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2.9원 하락한 1,336.8원을 기록.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291억, 979억 순매도, 개인은 2,067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505계약, 1,689계약 순매도, 기관은 3,511계약 순매수.국고채 3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5.4bp 하락한 3.876%, 10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3.0bp 하락한 4.001%를 기록.3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18틱 오른 103.08로 마감. 은행이 2,960계약 순매수, 금융투자, 투신은 1,953계약, 1,527계약 순매도. 10년 국채선물은 전거래일 대비 34틱 오른 108.12로 마감. 금융투자가 3,992계약 순매수, 보험, 외국인은 2,139계약, 1,557계약 순매도.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셀트리온(-2.25%), LG화학(-1.52%), POSCO홀딩스(-1.39%), 카카오(-1.31%), 삼성바이오로직스(-0.99%), NAVER(-0.95%), 삼성SDI(-0.93%), SK이노베이션(-0.57%), 포스코퓨처엠(-0.50%), 삼성물산(-0.37%), 현대차(-0.21%), 삼성전자(-0.15%), 신한지주(-0.13%) 등이 하락. 반면, LG에너지솔루션(+0.82%), SK하이닉스(+0.69%), 현대모비스(+0.63%), 기아(+0.50%), KB금융(+0.35%), LG전자(+0.19%) 등은 상승.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 운수창고(-1.70%), 건설업(-1.16%), 유통업(-1.14%), 의약품(-0.99%), 화학(-0.86%), 철강금속(-0.69%), 의료정밀(-0.66%), 서비스업(-0.64%), 증권(-0.61%), 운수장비(-0.53%), 종이목재(-0.46%), 비금속광물(-0.40%), 전기가스업(-0.38%), 음식료업(-0.31%), 섬유의복(-0.30%) 업종 등이 하락. 반면, 보험(+0.72%), 금융업(+0.32%), 기계(+0.28%), 통신업(+0.14%), 전기전자(+0.06%) 업종은 상승.마감 지수 : KOSPI 2,508.13P(-6.84P/-0.27%)

해외시황스크린

뉴욕 마감시황
9/21(현지시간) 뉴욕증시 하락, 다우(-1.08%)/나스닥(-1.82%)/S&P500(-1.64%) Fed 긴축 장기화 우려(-), 국채금리 급등(-)이날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매파적 입장을 강화하면서 긴축 장기화 우려가 커진 가운데, 美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보인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08%, 1.64%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82% 하락.전일 Fed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매파적 입장을 강화하면서 연일 증시에 악재로 작용. Fed는 9월 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현 5.25~5.50%로 동결했지만, 연내 1회 더 0.25%포인트 금리 인상을 예상해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음. Fed 위원들은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에서 올해 말 기준금리가 5.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내년 금리 전망치 중간값은 5.1%로 지난 6월의 4.6%에서 0.5%포인트 높아졌음. 시장에서는 5%를 웃도는 고금리 환경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면서 긴축 장기화 우려가 커지는 모습. 제롬 파월 Fed 의장도 매파적 입장을 이어갔음. 파월 의장은 FOMC 회의 후 기자회견을 통해 "적절하다면 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준비가 돼 있으며,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향해 지속적으로 내려가고 있다고 자신할 때까지 제약적 수준에서 금리를 유지할 계획이다"라고 언급했음.이날 발표된 실업 지표가 강세를 보인 점도 Fed의 긴축 장기화 우려를 키우는 모습. 美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전주대비 2만명 감소한 20만1,000명으로 집계됐음. 이는 8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22만5,000명도 밑돌았음.Fed 긴축 장기화 우려 속 美 국채금리는 장중 한때 또다시 역사적 수준을 경신했음.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4.48%를 돌파해 2007년 이후 최고치를 재차 경신했고, 금리 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도 5.19%를 넘어서며 2006년 이후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음. 이에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기술주들이 약세를 이어가면서 증시 하락을 이끌었음.한편,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의 9월 제조업 지수는 -13.5를 기록해 제조업 경기가 위축 국면임을 시사했으며, 콘퍼런스보드의 8월 경기선행지수도 전월대비 0.4% 하락한 105.4를 기록해 17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음.이날 국제유가는 러시아 연료 수출 일시 금지에도 매파 연준 우려 및 차익실현 매물 지속 등에 약보합 마감.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1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03달러(-0.03%) 하락한 89.63달러에 거래 마감.이날 채권시장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속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하락.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재생에너지, 소프트웨어/IT서비스, 금속/광업, 소매, 경기관련 서비스업, 제약, 경기관련 소비재, 자동차, 기술장비, 화학, 통신서비스, 산업서비스, 복합산업, 의료 장비/보급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속 국채금리 급등 등에 애플(-0.89%), 마이크로소프트(-0.39%), 아마존(-4.41%), 알파벳A(-2.47%), 메타(-1.31%), 넷플릭스(-0.56%), 엔비디아(-2.89%), 테슬라(-2.62%) 등 대형 기술주들이 일제히 하락. KB홈(-4.29%), 다든 레스토랑(-2.66%)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에도 하락했고, 시스코 시스템즈(-3.89%)는 사이버 보안업체 스플렁크를 인수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하락. 반면, 스플렁크(+20.77%)는 급등. 전일 상장 첫날 급등했던 마케팅 자동화 플랫폼 클라비요(+2.93%)는 상승세를 이어갔고, 페덱스(+4.52%)는 분기 이익이 예상치를 웃돌고 연간 이익 전망치를 상향했다는 소식에 상승. 다우 -370.46(-1.08%) 34,070.42, 나스닥 -245.14(-1.82%) 13,223.99, S&P500 4,330.00(-1.64%), 필라델피아반도체 3,338.85(-1.76%)
필라델피아 마감시황
9월21일(현지시간) 뉴욕주식시장이 매파 연준 여파 속 국채금리 급등 등에 하락 마감한 가운데, 금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약세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9.95(-1.76%) 하락한 3,338.85을 기록.세계 최대 반도체업체 중 하나인 인텔(-0.12%)이 하락했으며, AMD(-4.22%)도 하락 마감. 반도체 장비업체인 AMAT(-1.30%)는 하락했으며, D램 업체인 마이크론테크놀로지(-2.55%)도 하락 마감.이 외에 울프스피드, 엔비디아,브로드컴, TSMC, 마벨 테크놀로지, ON세미컨덕터, 램리서치, ASML, 퀄컴, 텍사스인스트루먼트, 인테그리스, NXP세미컨덕터, 글로벌파운드리 등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를 구성하는 모든 종목이 하락.

증권사 리포트

시황 종목 업종 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