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자율성' 기댄 밸류업 가이드라인...당근책 아쉽단 평도

파이낸셜뉴스 2024.05.02 17:54 댓글 0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한국 증시 도약을 위한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2차 세미나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4.5.2/뉴스1 /사진=뉴스1화상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한국 증시 도약을 위한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2차 세미나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2024.5.2/뉴스1 /사진=뉴스1화상

[파이낸셜뉴스] 금융당국이 상장기업의 기업가치 제고계획 공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각 상장사가 자발적으로 기업가치를 평가하고 목표 방향성을 제시, 달성 현황을 시장에 알린다는 취지다. 자본시장 전문가들은 지표 및 목표 선정 배경에 대한 구체적 배경 제시를 강조했다. 다만 기업에서는 당근책이 부족하다고 입을 모았다.

■ "기업이 자발적으로 기준 만들고 현황 평가"
2일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 자본시장연구원 등 유관기관이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 가이드라인'은 코스피·코스닥 모든 상장사가 대상이다. 자율적으로 연 1회 이상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에 공시하도록 권고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은 기업개요, 현황진단, 목표설정, 계획수립, 이행평가, 소통 등의 순서로 기재한다.

기업개요는 업종, 연혁, 제품서비스, 재무실적 등 기본정보를 제공한다. 현황진단에서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핵심지표를 선정하고 자체적으로 재무·비재무지표를 분석한다. 거래소는 재무지표로 주가순자산비율(PBR), 자기자본이익률(ROE) 등을, 비재무지표로는 지배구조 개선프로젝트 등을 예로 들었다.

목표는 일시적·임시방편적인 개선이 아닌 중장기적인 목표를 제시하도록 했다. 계량화된 수치 등으로 명료하게 제시하도록 하되, 지배구조개선 등 비재무지표는 정성적인 서술도 가능하다. 경영환경 변화로 목표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정정공시로 수정·보완하도록 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한 계획은 특정 사업부문의 강화, 연구개발(R&D) 확대, 인적·물적자본 투자, 사업 포트폴리오 개편, 자사주 소각 및 배당 등 주주환원, 비효율적인 자산 처분 등 구체적인 사항을 기재한다. 특히 목표달성도와 계획이행도에 따라 임직원 보상체계와 연계하는 계획을 통해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했다. 다만, 상장사는 기업비밀 등을 고려해 계획의 구체적인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이행평가는 어떤 노력을 이행했는 지를 기재하고, 잘된 점과 보완이 필요한 점 등 평가적 요소도 기재를 권장했다.

현황진단에서 이행평가까지 단계에서 이사회의 참여를 적극 권고해 책임성을 강화했다.

마지막으로 소통단계는 주주 및 시장참여자와의 소통현황과 계획, 실적을 작성한다. 영문 번역본 공시, 주주제안 프로세스의 실효성 제고, 주주총회 문화 개선 등이 예시로 거론됐다.

"지표 선정 배경 충실히 설명돼야"
자본시장 전문가들은 기업가치 제고계획 관련 지표 선정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고 입을 모았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이왕겸 책임투자전략센터장은 이날 패널토론에서 “기존 사업보고서나 지배구조보고서와의 중복 공시 우려를 덜려면 기업가치 제고계획의 취지가 퇴색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라며 “왜 이 정보를 제공하는지 배경 설명이 충실히 반영돼야 하고, 핵심 지표 선정 이유도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들이 의구심을 갖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사회의 책임 강화 및 임직원 보상체계 연계안에 대한 관심도 컸다. 국민연금공단 이승근 주주권행사1팀장은 “경영진의 보상체계 마련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의 실질적 이행을 담보로 하는 인센티브가 되길 기대한다”며 “각 기업 이사회에서 기업가치 제고계획에 대한 진솔한 평가가 이뤄지길 바라고, 특히 사외이사의 역할이 커졌으면 한다”고 전했다.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공시해야 하는 기업 측에서는 인센티브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업별 업종별 상황이 다른 만큼 이를 감안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CJ제일제당 재경실 천기성 부사장은 “PBR이나 ROE 등 지표 선정이 특정 수치에만 매몰될 경우 불필요한 낙인 효과가 생길 수 있어 부담”이라며 “제조업의 경우 신규 증설 및 유지 보수를 위한 투자가 필연적으로 수반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어 “이미 과거부터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해온 기업들의 노력에 대해서도 충분한 평가가 필요하다”며 “연간 사업보고서 4회, 지배구조보고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공시까지 해야 하는데 제고계획 공시까지 더해진다면 상당한 부담이 아닐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 코스피 상장사 IR 담당자도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 패널티가 없다고는 하지만 부담일 수밖에 없어 보수적으로 접근할 가능성도 크다”며 “밸류업 정책 시행 전부터 이미 주주환원에 적극 나섰던 기업들에 대한 인센티브를 포함해 공격적인 당근책이 추가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유관기관 측은 균형감 있는 기업 밸류업 방안을 이행해가겠다고 밝혔다. 정지헌 거래소 상무는 “대체로 기업의 자율적 참여 방향성, 주주소통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시장 참가자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며 “공시 사례가 축적될수록 지표 선정 과정이나 정보 제공 방식도 지속 발전해갈 것으로 기대하며, 추후 예정된 밸류업 지수 개발 및 공시 교육 과정에서 시장과 지속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