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15조 규모 직류배전망 국제표준, 시장선점 고지 확보

파이낸셜뉴스 2024.05.19 15:38 댓글 0

팀코리아 제안 과제, IEC 백서 주제로 채택

15조 규모 직류배전망 국제표준, 시장선점 고지 확보




[파이낸셜뉴스] 15조원 규모 성장이 예상되는 중저압 직류 배전망 기술의 국제표준 개발을 한국이 주도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최근 전기·전자 분야 국제표준화기구인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가 미래 표준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발간하는 백서(White Paper) 주제로 한국이 제안한 '중전압 직류 배전망 기술'을 채택했다고 19일 밝혔다.

중저압 직류 배전망은 고압직류(100㎸ 이상) 선로와 저압직류(1.5㎸ 미만) 지선을 연결하는 직류 배전망을 말한다.

이 기술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의 접속이 쉽고 전송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 배전설비 크기가 기존의 절반 이하로 작아 효율적이며 전자기파 발생도 적다.

특히 전기차 급속충전 설치, 인터넷데이터센터(IDC) 확대 등 직류 부하 사용 증가에 대응하기 쉽고 전력·전압 제어가 자유로워 망 이용률 증대 및 전력품질 향상 등 장점을 갖췄다.

IEC는 표준 백서를 통해 미래 유망 기술의 표준화 방향을 결정하는데 이번 주제 채택으로 한국은 2025년도 IEC 백서 발간을 주도하게 됐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테크사이리서치에 따르면 에너지 전환에 따른 수요 증가로 오는 2029년 중저압 직류 배전망 시장은 15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이번 주제 채택으로 한국은 해당 기술의 국제표준화 추진에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게 됐다. 이로 인해 세계 시장 선점을 위한 고지를 점하게 됐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IEC는 매년 차기 표준화 대상 과제를 공모한 뒤 투표를 통해 1개 주제를 선정한다. 한국은 올해 중국이 제안한 2개 주제와 치열한 경쟁 끝에 최종 채택되는 성과를 거뒀다.

이 같은 성과는 국표원과 한국전력, 삼성디스플레이, 한국전기연구원 등이 '원팀'으로 협업해 얻어낸 결과이다.

한국의 IEC 백서 주제 채택은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 2020년 한국이 제안한 '양자 기술'이 IEC 백서 주제로 채택된 바 있다.

이후 한국 주도로 2021년 백서가 발간됐고 지난해 12월 국제표준화기구 공동기술위원회(IEC/ISOJTC3<양자 기술>)가 설립됐다. 올해 2월에는 위원회 의장으로 이해성 전주대 교수가 선임되는 등 국제 양자 기술 분야 표준화를 주도하고 있다.

진종욱 국표원장은 "이번 성과는 치열한 국제표준화 경쟁 속에서 민관이 협업을 통해 거둔 성과"라며 "앞으로 관련 기업, 학계, 연구소 등 전문가가 참여하는 특별 작업반을 구성해 우리 기술이 IEC 표준 백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제표준 #국가기술표준원 #국제전기기술위원회 #중저압직류배전망 #IEC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