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최신뉴스

고물가·고금리에 소득도 줄어… 중산층 다섯 집 중 한 집 적자

파이낸셜뉴스 2024.05.26 19:00 댓글0

통계청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경제 회복의 온기가 체감 수준까지 퍼지지 못한 가운데 올해 1·4분기까지도 중산층의 5분의 1은 '적자'를 면치 못했다. 고물가·고금리 이중고로 지출은 커진데 비해 소득은 크게 늘지 못한 탓이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로 전년(26.7%)에 비해 0.1%p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 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이다. 실제로 통장에 기입되는 '세후' 소득보다 더 많은 돈을 써야 했다는 의미다.

특히 소득 분위별로 보면 우리 경제의 허리를 담당하는 중간 분위 가구의 적자 비중이 늘고 있다.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년 전보다 2.2%p 증가해 18.2%가 됐다. 직전 분기인 4분기(14.8%)와 비교하면 3.4%p 늘었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로 나타났다.

상품 가격과 이자 비용의 상승은 전 분위에 걸쳐서 일어났지만 3·4분위에게는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상용 근로자 비중이 높은 '중산층'인 만큼 근로소득이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다 주택 등 가계대출의 비중도 높아서다.

1·4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은 1년 전보다 6만8000원(1.4%)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9만9000원(2.5%) 증가했다. 이자 비용도 1만4천원(11.2%) 늘었다.

이 가운데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3만5천원(1.1%) 줄며 오히려 '역성장'했다. 지난해 기업 실적 부진이 이어지며 기업이 지급하는 수당·성과급 등 추가소득이 줄어서다. 통계청은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3분위·4분위 가구의 지출은 각각 5.9%, 4.5% 늘었지만, 소득은 각각 5.4%, 2.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 역시 적자 가구 비율이 1년 전보다 0.5%p 증가한 9.4%를 기록했다. 2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도 1년 전보다 0.9%p 증가한 28.9%였다. 반면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0%p 감소해 60.3%로 개선됐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