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해외시황

2022/08/11 뉴욕 마감시황

인포스탁 2022.08.11

뉴욕 마감시황

8/10(현지시간) 뉴욕증시 급등, 다우(+1.63%)/나스닥(+2.89%)/S&P500(+2.13%) CPI 상 승률 둔화(+)

이날 뉴욕증시는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CPI) 상 승률이 크게 둔화된 데 따른 안도감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급등.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63%, 2.13% 급등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2.89% 급등.

7월 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등 크게 둔화된 모습을 보이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되는 모습. 개장 전 美 노동부가 발표한 7월 CPI는 전년동월대비 8.5% 상승했음. 이는 지난 6월 41년 만에 최고치인 9.1% 상승률을 크게 밑도는 수치로, 월스트리트저 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8.7%에도 못 미쳤음. 휘발유와 연료유 등 에너지 가격 이 크게 하락하면서 물가 전반이 내려갔음. 전월대비로는 변화가 없어 6월의 1.3% 상 승과 시장 예상치 0.2% 상승을 모두 밑돌았음. 변동성이 큰 음식료와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에서도 전년동월대비 5.9% 상승, 전월대비 0.3% 상승해 시장 예상치를 모두 밑돌았음. 이에 일각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은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됐으며,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자이언트스텝’을 밟을 것이라는 예상이 다소 누그러졌음.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Fed가 9월 회의에서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할 가 능성은 56.5%에 달해 전장의 32%에서 크게 오른 반면, 0.75%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43.5%로 전장의 68%에서 하락했음.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지 표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8.5%의 물가상승률은 기뻐할 수 없는 수준이라 고 언급했음. 에번스 총재는 Fed가 연말까지 금리를 3.25%~3.5%까지 인상하고, 내년에도 3.75%~4%까지 올릴 것으로 전망했음.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 총재는 이번 CPI가 자신의 금리 인상 경로를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Fed가 올해 말까지 기준금리를 3.9%까지 인상하고 내년에 4.4%까지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음.
조 바이든 대통령은 "인플레이션이 완화할 수 있다는 징후를 보고 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음. 바이든 대통령은 "사람들은 여전히 고통받고 있다"면서도 "지난달 인플레이션은 제로(0)"라고 강조했음.

한편, 美 상무부가 발표한 6월 도매재고는 전월대비 1.8% 증가한 8,954억 달러를 기록해 수정된 전월 증가율 1.9%와 월스트리트저널(WSJ) 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1.9% 증가를 모두 밑돌았음. 전년동월대비로는 25.5% 증가.

이날 국제유가는 美 휘발유 재고 감소 등에 강세.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9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1.43달러(+1.58%) 상승한 91.93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예상치를 하회하는 7월 CPI 등에 따른 물가 고점 인식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약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소폭 상승.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재생에너지, 화학, 자동차, 기술장비, 통신서비스, 의료 장비/보급, 소프트웨어/IT서비스, 경기관련 서비스업, 운수, 제약, 금속/광업, 산업서비스, 경기관련 소비재, 소매, 에너지 업종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다우 +535.10(+1.63%) 33,309.51, 나스닥 +360.88(+2.89%) 12,854.81, S&P500 4,210.24(+2.13%), 필라델피아반도체 2,988.71(+4.25%)

뉴욕 국내증시와의 상관관계

최근 코로나19 백신 본격화 등에 따른 경제 재개 기대감 등에 강세 흐름을 이어가던 뉴욕증시는 美 공격적 긴축 우려 속 경기 침체 우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에 따른 재확산 우려 등이 지속되면서 조정 장세를 보이고 있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악재로 작용.

미국 중앙은행(Fed)은 2020년 3월 코로나19 여파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기존 연 1.00%~1.25%에서 0.00%~0.25%로 긴급 인하했으며, 긴급 금리인하와 함께 추가 양적완화(QE)를 시행하기로 했음. 다만, 최근 FOMC 회의를 통해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축소하는 테이퍼링과 함께 금리 인상을 예고하는 등 본격적인 긴축 행보를 보이고 있음. Fed는 22년6월 FOMC 회의에서 28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0.75%p 인상했으며, 7월 회의에서도 0.75%p 인상 했음. 한편, 파월 의장은 "다음 회의에서 또 다른 이례적인 큰 폭의 금리 인상이 적절할 수 있다"라고 언급했지만, "통화정책 기조가 추가로 긴축됨에 따라 누적된 정책 조정이 경제와 인플레이션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평가하는 동안 인상 속도를 늦추는 것이 적절할 것 같다"라고 언급하는 등 향후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을 언급했음.

일반적으로, 세계증시간 동조화 추세에 따라 시장간 상관성은 항상 존재하며, 뉴욕증시의 등락 및 관련 재료등에 따른 국내증시의 민감도는 상당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특히, 반도체를 포함한 주요 IT 기술주 및 자동차 등 주 수출주들은 뉴욕발 이슈 에 따른 연동성이 매우 높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