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트럼프발 관세 전쟁 본격화
글로벌 자동차 업계 전반에 부담 심화  |
현대차 울산공장 수출 부두 전경. 현대차 제공 |
[파이낸셜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4월 2일 자동차 관세를 도입하겠다고 언급하면서 한국도 비상등이 켜졌다. 그동안 한국산 자동차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대미 수출에서 관세를 내지 않았지만, 앞으로는 관세를 물게 될 여지가 생겼기 때문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등 부가가치세 제도를 가진 나라들을 사실상 대미관세 부과 국가로 보고 상호관세 부과 가능성을 예고했다.
17일 김귀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4월 2일 기점으로 관세 우려 확대가 불가피하다"면서 "관세 관련한 구체적인 기준과 방식 등에 대한 언급은 아직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지난해 기준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폭은 658억달러로 미국 수입국 기준 8위"라며 "자동차는 대미 주요 수출 품목 가운데 1위 품목(비중 27%)으로 트럼프 관세 위협에 따른 우려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관세는 글로벌 완성차 전반에 부담 요인이 될 것이고, 제조업 기반의 자동차 업계 특성상 특정 국가의 관세 부과는 현지 업체를 포함한 업종 전반에 부담이 될 것이라고 봤다.
김 연구원은 "지난해 기준 미국의 자동차 판매량은 1646만대로 동기간 생산량 1080만대를 웃돈다. 이는 미국 현지 수요 대응을 위해서는 미국 수출 대응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업체별로 차이가 있지만 BMW와 같은 일부 업체를 제외하고 미국 현지 생산으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업체는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미국 현지 완성차인 GM과 포드도 관세 정책에 따른 생산 전략 조정 가능성과 비용 증가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면서 "폭스바겐도 멕시코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타격이 불가피함을 언급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재확인하면서 외국의 부가세 시스템을 '대미 관세'로 간주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비(非)금전적 관세와 무역장벽을 상호관세 부과에 고려할 것이라며 "관세보다 훨씬 더 가혹한 부가세 시스템을 사용하는 나라들을 (대미) 관세를 가진 나라와 비슷하게 여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과 유럽 등 다수 국가는 생산 단계마다 부가가치에 세금을 매기는 부가세를 소비세로 걷고 있다. 반면 미국은 부가세 형식의 소비세는 없고 최종 소비자만 판매세를 낸다. 판매세율은 6.6%로 외국의 부가세율보다 낮은 편이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