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진 한국 델 총괄사장
국가 AIDC에'델 파워엣지'공급
인프라 투자 등 통합 솔루션 제공
"젠슨 황도 추천한 시스템" 자부심
"델은 인공지능(AI) PC부터 스토리지, 네트워킹, 이를 아우르는 시스템 인테리어 서비스까지 풀 스택을 갖추고 있는 게 최대 장점이다. 델은 이런 역량을 통해 한국의 엔터프라이즈 AI에 기여하고 싶다."
김경진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 총괄사장(사진)은 23일 본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올해는 기업들이 생성형 AI에 대한 기본적인 관심에서 좀 더 실질적인 결과에 집중하게 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최근 AI 열풍이 일면서 관련 기술력과 영업 역량을 더욱 더 인정 받고 있다. 델은 '델 AI 팩토리'라는 이름으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치, AI PC, 컨설팅 등 다양한 엔드 투 엔드 포트폴리오와 파인튜닝, 검색증강생성(RAG)을 손쉽게 할 수 있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델은 올해 에이전틱 AI 아키텍처, 소버린 AI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기업들이 매출 증대, 비용 절감,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해 AI를 현업에 적용하는 '엔터프라이즈 AI'가 확산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 정부도 올해 AI G3 강국 도약을 목표로 '국가AI컴퓨팅센터'를 구축하는 등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한국이 AI나 클라우드에 있어 선진국 대비 뒤처졌다는 지적도 있지만 김 총괄사장의 생각은 조금 달랐다.
그는 "한국은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나라로, 한국 글로벌 기업들이 누구보다 빨리 AI에 진취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며 "네이버,
카카오 같은 소버린(자주적) 플랫폼이 건재한 몇 안 되는 나라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델은 한국의 AI 전환을 위해 NHN클라우드가 운영하는 국가 AI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 H100이 탑재된 '델 파워엣지'를 공급했으며 네이버 클라우드, 엘리스,
LG AI 연구원과도 협업하고 있다. 이 밖에 많은 기업들에 AI 관련 협업과 함께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김 총괄사장은 "AI는 새로운 기술이면서 빨리 바뀌고 투자 비용도 비싸기 때문에 무엇을 할 것인지, 누가 할 것인지를 정하는 등 프리 스테이지 단계부터 밟는 게 중요하다"며 "모든 기업들은 최고AI책임자(CAIO) 도입을 고려해야 하고, 이후 청사진과 계획 설립, 인프라 투자 등의 단계를 밟으면서 도움이 필요하다면 델과 일하는 게 제일 좋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AI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축하려면 델에 전화하라고 했다"며 "델은 업계에서 가장 광범위한 AI 포트폴리오와 유연하고 개방된 에코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국내외 많은 기업들의 선택을 받고 있으며 고객사들도 만족해 한다"고 설명했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