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뉴시스 |
[파이낸셜뉴스] 일본 언론이 한국의 비상계엄과 탄핵 사태가 발생한 배경에는 ‘3명의 김씨’가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10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심야에 발표한 비상계엄령은 44년 만에 단행된 초유의 사태였다”라며 “그 배후로 3명의 김 씨가 떠오른다”고 평했다. 닛케이가 꼽은 3명의 김 씨는 윤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다.
닛케이는 첫 번째 인물로 김건희 여사를 꼽았다. 대통령 부인에 대한 야당의 무차별적인 공격에 윤 대통령의 인내심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분석이다.
닛케이는 “윤 대통령은 부인 문제만 나오면 사람이 바뀐다는 얘기를 자주 듣는다”면서 “대통령 부부의 선거 공천 개입 의혹의 열쇠를 쥐고 있는 명태균 씨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우려해 계엄령으로 국면을 전환하려 했다는 시각도 있다”고 짚었다.
이어 두 번째 인물인 김 전 장관에 대해서는 윤 대통령의 충암고 1년 선배라는 점을 거론하며 “국방 책임자로서 윤 대통령에게 비상계엄을 강력히 권유하고 유도한 핵심 인물"이라며 "이번 사건의 배후에서 실행 역할을 한 인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김 전 국방부 장관은 머릿속에서 이를 계속 구상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지금 아니면 안 된다’며 윤 대통령에게 속삭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닛케이는 세 번째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지목했다. 닛케이는 “비상계엄 선언에서 윤 대통령은 한국 야당 등을 ‘반국가 세력’으로 간주하며 북한 지도부와 동일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짚었다.
그 이유에 대해 "북한이 최근 개정 헌법에서 한국을 '적대국가'로 규정하고 러시아와 사실상 군사동맹을 맺자 윤 대통령은 이를 국가안보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인식했다"라며 "여기에 야당이 대통령실과 국정원의 특별활동비를 전액 삭감하면서 '안보 공백이 우려된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선포하며 “우리 국민의 자유와 행복을 약탈하고 있는 파렴치한 종북 반국가세력들을 일거에 척결하고 자유 헌정 질서를 지키기 위해서”라고 밝힌 바 있다.
또 닛케이는 윤 대통령이 “젊은 시절, 미국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의 저서 선택의 자유를 읽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는 것을 전하며 “그는 철저한 자유주의 신봉자로 공산주의를 극도로 혐오하며, 자신의 정치 활동에서도 ‘이념’을 최우선으로 여긴다”고 설명했다. 대통령 취임 연설에서는 ‘자유’를 35번 언급하며 시장경제와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한 점도 들었다.
그러면서 닛케이는 이번 계엄 사태가 즉흥적이고 감정적인 반응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닛케이는 “국회에 투입된 군 병력과 경찰의 움직임을 보면 이번 비상계엄령은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된 것이 아니라 돌발적이고 충동적인 성격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은 이제 세계 최고의 IT(정보기술) 강국이다. 계엄령으로 군대를 동원해 강압적으로 반대 세력과 행정·사법·언론까지 억누르는 반세기 전의 방식이 통용될 리 없다”고 지적했다.
닛케이는 한국 보수 관계자 말을 인용해 “대통령 성격은 누구도 이해할 수 없다고밖에 말할 수 없다”며 “그래도 최악의 사태는 면했다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정은국무위원장 #김건희여사 #계엄탄핵사태 #일본언론배후지목 #김용현전장관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