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능력평가 50위내 중견사
치솟는 공사비·이자비용 직격탄
작년 순이익률 0%대 한계 도달
재무악화로 제2 태영사태 우려감
금리·수수료·원자재값 부담완화
준공기한 연장 등 정책지원 시급
중견건설사들의 지난해 순이익률이 0%대로 주저앉았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비롯한 이자비용 등을 제외하면 최종적으로 벌어들인 이익이 거의 없다는 의미다. 시공능력평가 50위 내 주요 중견 건설사들의 경우 지난해 매출 증가에도 치솟은 공사비 등으로 영업이익이 줄고, 가파른 금융비용에 순이익까지 곤두박질쳐 재무구조가 악화되고 있다. 올해에도 공사비 급등, 부동산 PF 부실 등의 여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 제2,3의 태영이 나올 것이란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중견건설사 순이익률 0%대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지난해 주요 중견 건설사들의 실적(연결 기준)을 분석한 결과 순이익률이 전년대비 떨어졌다. 최근 수년간 원자잿값과 인건비가 올라 공사비는 급증했고, 금리 상승으로 이자비용 부담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그간 벌어 놓은 돈으로 겨우 버틸 수 있었지만, 현재는 대부분 소진된 상태"라며 "다수의 중견건설사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고 토로했다.
SGC이테크건설 경우 매출은 2022년 1조5233억원에서 지난해 1조8637억원으로 늘었다. 하지만 당기순이익은 2022년 520억원에서 적자전환돼로 지난해 당기순손실 307억원을 기록했다. 같은기간 순이익률은 3.41%에서 -1.65%를 기록했다.
동부건설,
금호건설,
코오롱글로벌 경우 전년 대비 매출은 증가했지만 순이익률은 0%대다. 코오롱글로벌은 2022년 4.44%(순이익 1156억원)에서 지난해에는 0.14%(37억원)으로 급격히 줄었다. 금호건설(0.04%), 동부건설(0.24%) 등도 지난해 순이익률이 0%대다. 계룡건설산업(1.76%)과
한신공영(1.59%)만 순이익률 1%를 넘겼다.
이들 6개 중견건설사의 부채비율은 코오롱글로벌(363.4%)을 제외하면 모두 200%대다. 건설업계에선 부채비율이 200%를 초과하면 '위험'으로, 300%를 넘으면 '고위험'으로 본다.
이들 중견 업체들은 올해 사업 다각화와 PF사업 축소, 원가율 개선 등으로 위기를 극복해 나갈 계획이다. 동부건설 관계자는 "공공공사 분야와 함께 해외 인프라와 산업플랜트 등으로 사업영역을 꾸준히 확대 세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호건설 관계자는 "신규 차입금 증가를 억제해 부채비율 증가를 관리 중이다. 새 사업 보다는 기존 사업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사비·금융비 부담가중에 '직격탄'
업계는 '회사의 최종 경영 성과'인 순이익 감소폭이 크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순이익에는 영업이익에 포함되지 않는 PF와 밀접한 은행대출 및 회사채의 비용 등이 반영돼 있어서다.
한 업체 관계자는 "중견건설사는 대형건설사와 달리 공공수주 비율이 높은데 공공은 수익성이 낮고 입찰경쟁이 치열하다. 이 때문에 PF사업을 안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공공공사는 설계 시점에 반영된 공사비가 발주시점에는 이미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중견 건설사들의 주요 사업이었던 공공공사와 PF에서 대규모 손실이 나오면서 위기감은 가중되고 있다. PF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경우 어려움에 처한 중견 건설사들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최근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출 500대 건설기업 자금사정 조사'를 실시한 결과 안정적인 자금관리를 위한 정책과제로 △금리부담 및 수수료 수준 완화(39.2%) △공급망 관리를 통한 원자재 가격 안정화(16.7%) △부동산시장 연착륙을 위한 규제완화(16.7%) 등이 꼽혔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고금리 장기화, 부동산 경기 침체 등 복합적 요인으로 중견업체를 중심으로 금융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자금사정이 악화되고 있다"며 "건설업계가 한계상황을 이겨낼 수 있도록 금리·수수료 부담 완화, 원자재 가격 안정화, 준공기한 연장 등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junjun@fnnews.com 최용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