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시황분석

3월 16일 긴급 장전 주식 시황

41d15ca1-f93f-4109-9259-b89326428b45.png


출처 CNBC


유럽 증시는 스위스 크레딧 스위스 은행이 사우디 은행으로부터 더 이상 지원을 받기 어렵다는 소식으로 금융 비중이 커서 큰 폭의 하락을 보였습니다.





0d654ea0-7275-4916-8654-c3c82889b5fd.png0fa92083-38ae-48da-8c15-2b6f987bdd77.png


출처 야후





미국 증시는 2월 생산자 물가가 하락하였다는 좋은 소식으로 향후 인플레가 잡힐 것이라는 기대로 유럽 증시에 비하면 선방하였습니다. 특히 현금 보유량이 많은 빅테크가 많은 나스닥은 소폭이나마 상승 반전하였습니다.



그러나 유가는 폭락 미국 10년치 국채 금리는 안전 자산 선호로 큰 폭 하락하여 아직 위험 신호가 남아있습니다. 미국 달라 인덱스도 올라가고 대표적인 위험 자산인 비트코인 및 미국 중소형 주식 지수인 러셀 지수는 많이 하락하였습니다.


b8610b18-0484-4f63-b0ca-8921727cd517.png


출처 핀 비즈







현금 비중이 큰 빅테크와 경기 방어주인 제약,생필품, 통신, 유틸리티는 상승 마감하고 유가의 하락으로 에너지 섹터가 많이 하락하였습니다.

금융 분야도 거의 다 하락 마감하였지만 찰스슈밥은 지난 하락 폭이 너무 과대하였다는 평가로 5% 상승 마감하였고 실리콘 밸리 은행의 파산으로 예금자가 이동할 것으로 기대되는 뱅크 오브 아메리카도 약 보합 마감하였습니다.





8b114589-54c9-495b-adf1-a95755fb978f.png


출처 구글



이번 사태의 주범인 크레딧 스위스 은행은 장중 14% 하락하였다가 스위스 중앙은행이 크레딧 스위스 은행에 구제 금융을 제공한다는 소식에 장외에서는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 5년간 88% 하락하여 이미 주가는 정크 수준입니다.





오늘 한국 증시는 갭 하락으로 시작할 것입니다. 주가의 흐름은 미국 나스닥 보다는 미국 중소형 러셀지수나 유럽 지수 분위기와 더 유사한 마감을 보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현물 투자자는 장 시초가에 일부라도 인버스를 매수하여 현물 하락에 대한 헤지를 하는 것을 고려할 만 합니다. 이번 사태가 3월 내에 안정이 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아니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미국 국채 한도 협상이 마무리 되기 전까지 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현물을 안 가지고 네이키드 숏을 하는 것도 위험성은 있습니다. 이미 스위스 연방 은행이 사태 진전에 나선 것처럼 미국 연준이 강력한 메시지를 보내면 주가가 상승 반전할 가능성도 배제 못 합니다.





복잡한 상황에서 현명하게 위험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0/1000 byte

등록

목록 글쓰기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