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시황
경제 충격 갈수록 태산
,
,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해외 자금 유입이 둔화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
,
S&P는 지난 12월 5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투자심리가 정상화하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며
“한국 정치권이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얼마나 잘 대응하느냐에 따라 한국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내릴 때 적용하는 위험 프리미엄이 줄어들 수 있다”고 밝혔다.
,
하나증권 리서치센터는 보고서를 통해
“불확실성에 따른 단기 조정이 불가피하고 외국인들도 불확실성으로 인한 투자금 회수 가능성이 있다”며
“부족한 국내 시장 유동성을 감안하면 이런 현상이 나타날 경우 (주가의) 낙폭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
장기적으로는 국내 경기의 추가 둔화와 중장기 경제 성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계엄 사태가 발생하기 전부터 한국 경제의 대내외 여건은 살얼음판이었다. 고금리 장기화와 내수 부진, 구조개혁 미진, 미래 성장동력 부재 등이 겹쳐 성장률 전망치는 떨어지고 있었다. 수출이 경착륙하고 내수 부양이 없으면 장기간 불황 국면이 지속하는 ‘L’ 자형의 장기 불황이 예상된다는 민간 연구소(현대경제연구원)의 경고까지 나온 상황이었다.
,
한국 경제가 내리막길로 가는 국면에서 발생한 ‘12·3 비상계엄 사태’는 부진한 소비와 투자를 더 얼어붙게 할 가능성이 크다.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2004년), 박근혜 전 대통령 (2016년) 탄핵 때도 소비심리가 악화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정국 불안이 장기화하면 국내 경기가 둔화할 수 있다. 소비가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 있고, 이 경우 올해 4분기와 내년 1분기 성장률에 추가 악재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무료 전문가 방송
최근 방문 게시판
실시간 베스트글
베스트 댓글
0/1000 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