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거래소시황

고물가·고금리에 중산층 타격…5곳 중 1곳은 '적자 살림'코멘트2

개인신용이 20조가 또 넘었다.

이판사판으로 신용으로 한탕 할려는넘들 큰 일이다.


국민들이 적자 살림이니  제대로 주식시장 되겠는가?


.올해 1분기 전체 적자 가구 비율 26.8%

전년 대비 상승폭, 중산층 가구서 두드러져
고물가·고금리에 근로소득 감소 겹친 결과
<div class="nbd_im_w _LAZY_LOADING_WRAP " style="clear: both;">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국제신문DB
</div>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올해 1분기 우리나라 중산층 가구 5곳 중 1곳가량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벌어들인 돈보다 쓴 돈이 더 많았다는 의미다. 고물가·고금리 장기화와 근로소득 감소 영향으로 분석된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 조사 결과’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 비율은 26.8%로 지난해 1분기(26.7%)보다 0.1%포인트 늘었다.

적자 가구는 처분가능소득(전체 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보다 소비지출이 더 많은 경우를 일컫는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중산층의 적자 가구 비율 상승이 두드러졌다.

소득 상위 20~40%에 속하는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8.2%로 지난해 1분기보다 2.2%포인트 늘었다.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14.8%)와 비교하면 3.4%포인트 뛰어 올랐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로 나타났다.

중산층 가구(20~60%) 5집 중 1집 가까이는 소비 여력보다 더 많은 돈을 쓰는 ‘적자 살림’을 했다는 의미다.

소득 상위 20%에 속하는 5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년 전보다 0.5%포인트 늘어난 9.4%를 기록했다. 2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도 1년 전보다 0.9%포인트 오른 28.9%였다.

반면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60.3%로 2.0%포인트 줄었다.

올해 1분기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적자 살림 증가’ 배경에는 고금리·고물가 장기화와 소득 부진 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물가 상승과 높은 금리로 가계의 소비 및 이자 비용 등 지출은 증가했지만 소득이 이를 상쇄할 만큼 늘지 못하면서 적자가 확대된 것이다.

실제 올해 1분기 월평균 가계지출(2.5%)과 이자 비용(11.2%)은 늘어난 반면 근로소득(-1.1%)은 감소했다.

이 때문에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다는 게 통계청 분석이다.

0/1000 byte

등록

목록 글쓰기

무료 전문가 방송

1/3

최근 방문 게시판

    베스트 댓글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