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거래소시황

대한민국 <국가, 기업, 가계 >부채.

나라가  언제  어떻게  터질지 모른다. 크게  총부채가  6000조라 하면 이자가 4%만 하더라도

1년에 240조가  이자로 나간다.

좀비기업 부채가 2780조라니  숨이  탁 멈처지내요.


하단 가계채무는 링크 부문이 잇으니  클릭하면  상세한  가계 채무가 나옵니다.

어제밤  파월은  금리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물가지수가 예상한데로  나왔다며 만족하지만 1월에  경제지표 즉 물가가 잘 나와 놀랬다고 하지 않습니까?

어쩌튼 물가는 떨어지지 못하고 PCE는 올라가고 있지 않습니까. 우야튼 금리는  확실하지 않는한

금리인하는 없을 것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리인하를 한다면  경기 침체신호로  주식시장 개판 될 것입니다.


고금리가  오래오래  Higher For Longer로  진행될 수록  우리나라

경제는 저성장, 고물가 늡에서 벗어 날 수가 없으며

내일 당장  문제가 터저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전 개인적으로 보고 싶내요..

3.1. 국가채무[편집]

국가채무는 2021년 기준 총 939.1조 원이고, GDP 대비 45.6% 수준이다. # 2022년 순대외금융자산은 1천조원에 근접했다.#

2021년 기준 OECD 37개 회원국의 평균 국가부채비율(General government debt)은 95%로 대한민국의 국가부채비율은 이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현재 59%이고, 2008년 이후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대한민국의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결코 낮다고 안심할 수는 없다. #

코로나19로 인해 경제가 침체되고 정부의 확장재정 정책이 지속되면서 대한민국 정부의 국가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가 많다. # 단, 한국의 국가부채의 경우 선진국과 비슷하게 국가부채의 자국민/자국기관의 채무 비율이 90퍼에 달한다.

대한민국 국가채무의 외국인 보유 비중은 2020년 기준 13.3%다. # 2021년 4월 21일, 나라살림연구소에서는 대한민국 국가채무 중 외국인 보유 비중이 14.1%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 국가 채무 면에서 자주 언급되는 일본의 국가채무 중 외국인 비중은 2018년 기준 13.0%로 한국과 비슷한 수준이다. # [2]

그러나 상술했듯이 이 ‘국가부채’라는 단어에 대해 유의해야 할 점이 많다. 이 용어는 ‘국가채무’라는 단어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국가부채의 경우 재무제표상의 수치를 모두 합산했기 때문에 2,000조에 달한다는 수치가 나올 수도 있다. 반면 국가채무라고 한다면 국가재정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영역을 넘어서지 않는다. 결국 국가부채라는 지표는 국가채무, D1, D2, D3와 모두 다른 지표이다.

한국은 유난히 빚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아서 그렇지 정부가 빚을 지는 건 당연하다. 언론을 포함한 일부에서는 대한민국의 부채를 5000만으로 나눠 일인당 몇 천만 원의 빚을 갚아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국가채무 중 대응되는 자산이 있는 금융성 채무나, 순수한 국가 자산을 고려한다면, 이는 국가채무에 대한 과도한 공포를 자극하는 것으로 국가채무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가능성이 있다[3]. 특히 국가채무의 경우 대부분 채권을 발행하면서 발생하는데, 그 채권을 사 가는 사람은 결국 국민이므로(외국인이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오히려 정부가 국민에게 빚을 되갚아야 하는 것이다.

코로나19 속 대한민국은 외환보유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2020년 기준 4,431억 달러로 2019년 대비 343억 달러 증가)하는 등 오히려 정부의 절대적인 자산은 증가[4]했다.

이러한 시점에 국가가 국가채무를 이유로 과도하게 경직적으로 재정을 운용한다면 재정의 자동안정화기능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어 경기침체가 확대되는 등 국민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과도하게 경직적인 재정 운용'이 어느 정도인지, 즉 현재의 국가채무가 재정건전성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적정한 수준인지에 대해서는 각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3.2. 공기업채무[편집]

공기업 채무는 587조 원이고 이 중 유이자 채무는 326조 원이다.

3.3. 사기업채무[편집]

민간기업 채무는 3,403조 원이고, 이 중 유이자 채무는 1,178조 원이다.

3.4. 가계채무[편집]

상세 내용 아이콘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부채/가계부채 문서
 참고하십시오.

3.5. 공적 금융기관 채무[편집]

공적 금융기관 채무는 438조 원이고, 이 중 유이자채무는 438조 원임

3.6. 민간 금융회사 채무[편집]

민간 금융회사 채무는 4,406조 원이고, 이 중 유이자채무는 673조 원이다.

작성시각 기준 부채가 가장 많은 기업은 KB국민은행인데, 무려 570조 원에 이른다. 2020년 한 해 동안 증가한 부채만 100조 원에 이르는데, 이는 삼성전자의 총부채와 맞먹는 수치이다.

그러나 570조 원 중 예금으로 인해 발생한 예수부채가 340조 원이 넘는다. 예수부채는 은행에 예금을 하면 발생하는데, 은행에 예금을 하면 은행이 가지고 있는 돈은 늘어나지만 결국 언젠가 출금 등을 통해 이자까지 쳐서 다시 돌려줘야 하는 돈이기 때문에 은행 입장에서는 부채인 것이다. 이렇듯 부채만으로는 해당 기관의 재정건전성을 알 수가 없다. 따라서 대응 자산을 같이 보아야 하는데, 사례로 든 KB국민은행의 경우 대출채권 규모가 380조 원에 달하므로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인 것이다.



0/1000 byte

등록

목록 글쓰기

무료 전문가 방송

1/3

최근 방문 게시판

    베스트 댓글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