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거래소시황

한은 "내년 美·유럽·中·신흥국 경기 동반 위축"


내년 미·중 무역갈등과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신흥국 금융위기 가능성에 세계 경제가 둔화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연합뉴스
내년에 미국·유럽·중국 등 세계 3대 경제권뿐 아니라 신흥국의 경기까지 함께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4일 '내년 세계 경제 특징·리스크 요인' 보고서에서 "세계 경제를 견인하던 미국, 유로 지역, 중국 등 주요국과 신흥국의 경기가 2023년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기존 위기 발생 이후 회복 국면의 양상과 다른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기 이후 회복 과정에서는 신흥국이 선진국의 부진을 보완했고, 유럽 재정위기와 부동산 침체가 겹친 2012년에는 미국의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며 공백을 메웠으나 내년에는 버팀목이 될만한 지역이 뚜렷하지 않다는 것이다.

내년 미국의 경우 플러스 성장은 가능하지만 통화 긴축 등의 영향으로 잠재성장률을 밑돌 것으로 예상됐고, 유로 지역은 공급·수요 부진과 금리 인상 충격 탓에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진단됐다.

중국의 성장 둔화도 부동산 관련 부실, 제로 코비드(코로나19 감염자 수 0 목표) 정책 등의 영향으로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런 주요국의 경기 위축과 통화 긴축은 주변국의 경기에도 부담을 주게 된다. 특히 신흥국의 경우 코로나19 대응 능력이 취약한데다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원자재 가격 조정 여파까지 더해지면 내년 성장세가 약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한은은 특히 내년 세계 경제의 구체적 위험 요인으로

△미·중 무역 갈등으로 촉발된 분절화(Fragmentation)

△중국 성장세 회복 지연

△경상수지 적자 상태 신흥국의 금융위기 가능성 등을 꼽았다.

한은은 "최근 나타나는 주요국 긴축 속도 조절 움직임과 중국 방역 정책 완화 조짐 등은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이라면서도 "다만 과거와 달리 각국의 적극적 공조 노력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하방 위험 요인의 현실화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0/1000 byte

등록

목록 글쓰기

무료 전문가 방송

1/3

최근 방문 게시판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