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석유
오늘 매도한 개인과 키움아 유럽증시 상승하니 내일 미국증시 급등한다.한국증시도 급등.고로 무림페이퍼 3천원 시작하여 7연속상한가간다
kkkk****글 참조
종가보니 단타키움 11만주 순매도,외인33천주,기관 18천주 순매수보니 내일 3천원시작 상한가.시간외로 2815원까지 매수하세요.낼 3천원시작하여 상한가가니 오늘 매도한 자 놓쳐요.
정말 고품격 분석이다.억지로 누르는 단타키움아 매수해라.바닥에 파는 꼴이다.정말 50배이상 상승한다.즐투
무림페이퍼 내일부터 7연속상한가가는 이유? 내일 무림페이퍼가 상한가가고 그럼 종이,제지주식들도 급등한다.무림페이퍼가 완전주도주이다.매매에 참조(종합지수가 조정받아도 내수주인 무림은 신고점간다.글로벌증시로 보면 한국은 내수주가 주도주,일본은 수출주가 주도주.고로 종합지수가 하락한다고 같이 하락하지 않는다)
특별기획]20주년 나노코리아에 가면 ‘E·S·G’(환경·스페셜·글로벌 메가트렌드)가 보인다
나노코리아, 탄소중립·미래 신산업 기여 나노융합기술 ‘비즈니스+트렌드’ 제시
2022-06-27
나노기술은 물질을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의 범주에서 조작·분석하고 새롭게 되거나 나타내는 소재·소자 또는 시스템을 창출하는 과학기술로 인류가 3차 산업혁명에서 4차 산업혁명으로 전환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나노기술은 IT, NT, BT 등 기존 기술과 접목돼 나노융합기술로 확장하면서 새로운 산업을 창출했다.올해는 9개국 350개 업체가 출품하고 1,300편 이상의 학술 논문을 발표하는 세계 3대 국제 나노기술행사로 거듭나게 됐다.E·S·G(환경·스페셜·글로벌 메가트렌드)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나노코리아, 탄소중립·미래 신산업 기여 나노융합기술 ‘비즈니스+트렌드’ 제시
■환경(Environmental) 이슈 해결사 나노기술 조망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이사장 홍순국)이 주관하는 나노코리아 2022는 오는 7월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킨텍스 제1전시장 4·5홀에서 개최된다. 세계 일부 기업이 선택했던 ESG 경영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글로벌 표준으로 거듭나면서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일례로 구글, 아마존 등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기업들은 비싸도 저전력 반도체의 구매를 늘리고 있다. 이에 맞춰 삼성전자는 저젼력 반도체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2025년까지 모든 모바일과 가전 제품에 재활용 소재를 사용할 계획이며 친환경 에너지 절감 등에 기여하는 소재·부품·장비·공정을 확보하고 이를 협력회사에게까지 전파하고 있다.
나노기술은 이러한 친환경 소부장 기술 확보에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삼성전자 지속가능경영사무국에서는 반도체산업의 지속가능성을, LG전자 ESG실에서는 LG전자의 ESG전략 ‘Better Life Plan 2030’을 각각 발표한다. 또한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에서는 공기정화용 세라믹촉매필터에 적용되는 나노기술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ESG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고성능·친환경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나노셀룰로오스와 이를 나노미터 폭으로 섬유화한 나노셀룰로오스 파이버(CNF)와 응용제품도 소개된다. 나노셀룰로오스 산업화 전략 포럼, 국립산림과학원,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공동 주관으로 7월7일 오전 10시20분부터 제1전시장 4홀 강연장 A에서 ‘친환경소재 산업화전략 포럼’이 열린다.나노셀룰로오스는 나무의 주 성분인 셀룰로오스를 10억분의 1로 쪼개 나노화한 물질이다. 분자간 결합력이 탁월해 무게는 철의 5분의 1에 불과하지만 강도는 5배에 달하는데다 열 안정성, 친수성이 뛰어나서 자동차, 화학 등 여러 산업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미국, 캐나다, 유럽 등에서도 나노셀룰로오스 파일럿 플랜트를 설치하여 연구·개발 및 상용화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무림페이퍼(무림P&P), 효성첨단소재 등이 나노셀룰로오스 기반 제지, 섬유, 복합 소재 등 상용화에 나서는 중이다. 이번 포럼은 나노셀룰로오스 등 친환경소재 상용화를 주제로 무림페이퍼( 무림P&P), 강원대, 서울대, 인하대,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국립산림과학원 등에서 제조 공정 및 상용화 기술개발을 주제발표할 예정이다. 나노셀룰로오스를 활용한 이차전지 분리막, 복합재, 저비용 나노파이버 제조 등 다양한 적용 사례가 발표돼 친환경 관련 신사업 및 신소재를 찾는 기업들이라면 관심을 가져 볼만하다.
■특별(special)한 나노기술을 눈으로 보고 느끼다
전시장에는 △친환경소재 특별관에는 무림페이퍼(무림P&P) 등이 나노셀룰로오스 및 응용제품을 대거 출품한다.
■글로벌 메가트렌드(Grobal Megatrend)에 기여하는 나노기술은?
파리기후변화협약과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에 이어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으로 말미암아 사회·경제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 비대면 일상화 등이 진행되면서 글로벌 선진기업들은 탄소중립과 디지털 전환이라는 글로벌 메가트렌드(Grobal Megatrend)에 적극 대응해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이윤을 추구함에 있어서 ESG 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1.무림페이퍼 2분기실적은 친환경제품의 실적호조로 매출4200억원(50%증가),영업이익688억원(320%증가),순이익598억원(480%증가)나온다.
무림페이퍼가 친환경신소재 초성장기업으로 변신했기에 연속상한가로 4300원돌파,8월15천원돌파,내년17만원간다.무림페이퍼는 나노셀루로오스 등 종이의 플라스틱 대체 등 종이업계에서 리딩기업으로 혁신을 이끌어가고 있다.주도주이다.따라서 초고속성장기업에 적용되는 pbr3배이상을 적용해야한다. 다른 제지 종이주들은 1990년대의 제지회사로 혁신없이 남아있다.무림페이퍼와 비교를 할수가 없다.
2.무림페이퍼는 올해 매출1조5천억원 영업이익1200억원대,순이익1100억원대,주당순자산(bps)1만5천원인데 시총은 고작1천pbr0.18배이다.주가는 액면가5천원도 안된다.이게 말이 되는가? 시총5천억원,주가는 15천원,pbr1배에서 지금 거래되어야한다.
*무림그룹은 무림sp->무림페이퍼->무림p&p로 되어있는데 지주사는 손자회사를 지배할수 없다는 원칙으로 무림p&p지분 77%를 보유하고 있는 무림페이퍼는 무림p&p는 합병하여 손자회사 문제 해결하고 원가절감 및 일원화로 친환경시대에 합병된 무림페이퍼는 매출3조원,영업이익8천600억원,순이익8천500억원으로 친환경소재,제품으로 국내1위,아시아1위,세계3위기업으로 도약하니 내년에 주가는 17만원을 돌파한다.합병비율은 무림p&p 3주에 무림페이퍼1주로 합병한다.무림페이퍼가 무림p&p지분을 77%를 가지고 있기때문이다.지금 합병발표하면 무림페이퍼는 무림p&p주가의 3배가격인 12천원대있어야한다.
3.무림페이퍼는 2004년 3천원 전후의 금호석유화학이다.금호석유화학은 그후 30만원갔다
고무분야 국내1위인 금호석화는 2004년때 3천원 전후했고 그후 3년만에 30만원갔다.이처럼 무림페이퍼는 친환경제품과 세계 최초로 천연 펄프서 뽑아낸 신소재 나노셀룰로오스로 국내 아시아 독점1위,세계3위기업으로 변신하니 2년내 17만원,3년내 45만원갑니다.(아랫의 실적 참조)
무림페이퍼의 향후 실적(자본금1040억원): 주가 2515원.시총1078억원.올해bps 18천원대,pbr0.14배(실제bps는 5만원대 적용시 pbr0.03배)
2021년:매출액1조500억원 영업이익298억원,순이익30억원:bps11천원대:목표주가 11천원:매출액12%증가,흑자전환
2022년(E)매출액15,588억원 영업이익1255억원 순이익1110억원;bps1만8500원:목표주가 2만3천원(셀룰로오스 등 친환경제품의 본격출시로 매출증가 및 고부가가치의 영업이익 비중 50%로 증가)
2023년(E)매출액28,698억원 영업이익8,860 억원 순이익8,680억원;bps8만6850원:목표주가 17만8천원(셀룰로오스 친환경제품의 본격출시로 매출증가 및 고부가가치 제품의 영업이익 폭발,무림p&p흡수합병으로 원가절감,용인골프장,토지,건물 자산재평가 및 비상장회사 싯가평가로 bps 8만원으로 상향)
2024년(E)매출액42,885억원 영업이익1조7천860 억원 순이익1조6천680억원;bps18만6850원:목표주가 45만5천원(친환경제품의 본격출시로 매출증가 및 고부가가치 제품의 영업이익 폭발증가.
1)1분기는 비수기로 실적이 제일 적다. 1분기 매출20%증가 작년 1분기매출 2400억원에서 올해 1분기매출 2900억원 /영업이익은 작년 98억 적자에서 올해 67억원 흑자/순이익은 작년 98적자에서 올해 29억원 적자.영업이익165억원증가,순이익70억원 증가
2) 항상 2분기는 최대실적나온다, 2분기실적은 작년 2분기보다 매출 50% 증가한다. 작년 2분기매출 2792억원인데 올해 2분기 매출은 4200억원,작년 영업이익 272억원 순이익 176억원에서 올해 2분기는 영업이익 680억원 순이익590억원 나온다.그래서 1만5천원 직행한다.
4.KCC, 무림P&P(무림페이퍼)와 친환경 수성 페인트 개발.
천연 펄프서 뽑아낸 신소재 나노셀룰로오스 적용 페인트 공동개발
P&P(무림페이퍼)와 천연 펄프에서 추출한 신소재를 적용한 친환경 페인트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0일 밝혔다. KCC 관계자는 "펄프?제지?신소재 종합기업 무림의 신소재 나노셀룰로오스를 적용한 친환경 수성 페인트를 개발하기로 손을 잡았다"고 말했다.무림은 천연 펄프에서 나노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 원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나노셀룰로오스는 나무를 목재칩으로 가공한 후 펄핑 과정을 거쳐 천연펄프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 섬유를 나노미터 크기로 쪼갠 물질이다. 무게는 철의 5분의1수준이지만 강도는 5배 높아 주목 받는 차세대 친환경 신소재다.나노셀룰로오스를 적용한 수성 페인트는 스프레이 분사를 통한 시공시 점도가 낮아 균일한 작업을 용이하게 해준다. 부착 후엔 점도가 높아지는 특성(요변성:Thixotropy)을 지녀 아래로 흐르지 않는다.KCC 관계자는 "나무에서 추출한 친환경 소재를 적용해 작업자의 건강까지 고려한 제품이라는 점에서 각광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나노셀룰로오스가 가진 특성을 활용해 자동차, 공업, 건축 등 산업전반에 사용되는 다양한 페인트 원료에 적용·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범성 전무는 "나노셀룰로오스는 기존의 화학 소재와 다른 탄소중립소재"라며 "KCC는 앞으로도 친환경 제품 개발과 라인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했다.
5.무림페이퍼가 일반 대중에게 종이의 새로운 경험과 가치 제공을 통해 친환경 에코라이프 기업으로 도약에 나선다. 무림페이퍼는 내달 5일까지 신세계 복합 쇼핑몰 스타필드 고양점에서 팝업 체험존 '페이퍼 어드벤처'를 연다고 밝혔다.
친환경 종이뿐 아니라 천연 펄프몰드, 나노셀룰로오스 등 생분해 가능한 다양한 친환경 제품으로 종이의 확장을 주도하고 있는 무림은 이번 팝업 체험존을 통해 대중들이 일상에서 공감할 수 있는 종이의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한다. 특히 이번 팝업 체험존은 국내 제지사 최초로 대형 쇼핑몰에 입점, 일반인 대상으로 진행되는 대규모 브랜드 행사로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종이의 친환경성과 다양한 활용 가치를 공유하는 장을 마련해 종이에 대한 관심을 이끌고 관련 업계에 활력소가 될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하고 있다.
무림은 종이의 따뜻한 감성과 새로운 가치를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도 마련했다. 생분해 종이컵과 천연 펄프몰드를 활용해 나만의 DIY 종이 화분, 그릇 등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체험 공간을 구성했다. 실제 종이비행기대회에서 사용되는 비행기 전개도를 제공해 항공 과학을 접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했다. 이도균 무림 대표는 "이번 행사를 통해 업계 리딩기업으로서 종이의 친환경성과 무한한 가능성을 대중들이 즐겁게 접할 수 있는 색다른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며 "종이로 그려나갈 새로운 미래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전자산업에서는 반도체가 모든 전자제품에 들어가기에 필수이다.종이 제지산업에서도 펄프가 필수이다.펄프에서 종이 제지,화장품 등 각종 포장지,골판지,종이필터,종이빨대,도배지 등 각종 종이제품엔 펄프가 필수이다.국내에서는 유일하게 무림페이퍼가 77%지분을 가진 무림p&p가 생산하고 전량 무림페이퍼에 납품한다.다른제지주들은 수입을 한다.한솔제지도 전량 수입을 한다.국내제지는 한솔제지와 무림페이퍼가 각각 30%점유율로 양분하고 있다.그런데 유가,식량,펄프 등 원자재가격의 3배이상 급등으로 제지산업이 격변하는 사태가 왔다.펄프를 생산하는 기업은 펄프가격 급등에 더 실적이 좋아지고 펄프를 수입하는 제지주들은 채산성을 맞추지 못하여 생산을 포기하는 사태가 온것이다.이런 인플레이션시대는 앞으로 몇년을 더 갈 것이다.따라서 무림페이퍼만 홀로 실적이 좋아지는 시대가 온것이다.앞으로 3년뒤에는 중소제지들은 망할 것이고 심지어 한솔제지도 생산을 하면 적자남으로 생산량을 줄일 것이다.따라서 3년내에 무림페이퍼의 시장점유율은 현재 30%에서 80%이상으로 압도적1위로 거의 독점체재로 갈것이다.한솔제지도 시장점유율이20%미만으로 줄어들것이다.(한솔제지도 펄프생산을 하려고 했지만 공장을 만드는데 3조원이상 들어서 결국 포기했다고 한다).또한 리그닌에서 나오는 흑액으로 벙커씨유와 석유 등 에너지를 자체 해결하니 유가상승에도 큰 영향이 없다. 무림페이퍼는 유가상승 수혜주이다.업종에서 유일하게 자체로 흑액이용 에너지 조달한다.
6.펄프.제지 일관화 공장이 무림그룹(무림SP.무림페이퍼·무림P&P)의 '심장'이라면 강원도 인제군의 조림지는 '정신'이다. 기업이념인 환경경영과 사회공헌이 그대로 담겨 있는 것. 무림페이퍼는 지난 1984년 총 2000ha에 달하는 부지를 확보해 국내 조림사업을 시작했다. 현재 약 280만그루의 나무가 연간 약 9500t의 이산화탄소 저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산길을 따라 올라간 인제 조림지에는 평균 임령 40년 이상의 자작나무, 참나무, 낙엽송 등이 빼곡히 심어져 있었다. 또 인근 지역주민 이외에는 출입을 제한하고 있어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무림 관계자는 "인제 조림지는 토지와 임목을 합쳐 약 5,000억원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면서 "직.간접적인 기준을 근거로 한 공익적 가치를 더하면 약 1조2540억원에 달한다"고 말했다.또한 이산화탄소배출권 판매로 연간 680억원의 수익을 거둘전망이다 .무림은 향후 화재 위험 및 자연 훼손을 최소화하는 범위 내에서 이 조림지를 개방하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무림은 국내와 국외 조림지에서 오는 2023년부터는 연간 최대 80만 BDT(Bone Dry Ton·수분함수율 0%의 목재칩 무게단위)의 목재칩을 공급받을 예정이다.또한 목재판매를 할 예정이다.또한 무림페이퍼는 인도네시아 내에서 조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2011년 인도네시아 파푸아 지역에 서울시 면적에 해당하는 약 6만5000ha 규모의 조림지를 확보하고, 2016년 초부터 본격적인 상업조림을 진행하고 있다.또한 2015년에 캄보디아,인도네시아에 확보한 남한면적의 절반인 약570만ha에도 2018년부터 본격적인 조림을 하고있다.무림그룹이 인도네시아,캄보디아에 조림 사업에 나선 이유는 국내 최초 제지업의 수직계열화를 이루기 위함이었다. 무림페이퍼는 용지의 원료가 되는 '펄프'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국내 제지업체 중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조림 사업까지 더하면 펄프의 주원료인 목재 칩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다.따라서 2023년엔 종이생산에서 한솔제지를 제치고 국내1위,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는 펄프는 아시아1위,세계3위 기업으로 도약하게된다.
무림P&P,무림페이퍼,무림sp는 이미 흑액을 활용해 공장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절반을 자가발전하고 있고, 증기는 100% 자체적으로 충당하고 있다.유가가 상승할수록 경쟁력이 높아진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유가,가스가격이 급등한다.사실 일반가스업체와 석유업체는 석유공사,가스공사에서 사서 소비자에게 판매하기에 오른가격에 사기에 가격급등에 따른 이익은 없다.그런데 이렇게 상한가 혹은 급등하고.유가상승에 따른 호재는 무림그룹이다.무림그룹은 흑액을 자체 생산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에 유가가 100불,200불 가도 영향이 없다.다른기업들은 유가상승으로 공장가동시 비용증가로 경쟁력이 상실되나 무림그룹주들은 도리어 경쟁력이 생겨서 압도적 1위로 도약할 기회를 잡은 것이다. 건조된 펄프를 물로 불려 종이를 만드는 다른 제지회사들과 달리 펄프공장과 제지공장이 관으로 연결돼 원료를 주고받으니 원가 절감은 물론 종이 품질도 우수하다. 제지공장에서 생산되는 종이 크기도 압권이다. 지난해 이곳에서 매출액 약 6500억원을 올렸다. 펄프와 제지를 한곳에서 만들면 뛰어난 품질의 종이를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다. 나무를 삶아 펄프를 만드는 과정에서 분리·추출되는 '흑액(리그닌)' 때문이다. 흑액은 불에 잘 타는 성질을 띠어 바이오매스로 사용된다. 이 흑액을 연소시켜 에너지로 충당한다. 덕분에 타 공장 대비 55%의 원가 절감 효과를 보고 있다. 연 절감액만 4680억원에 달한다. 흑액으로 줄어드는 온실가스 연간 배출량은 80만t이다. 무림P&P 울산공장,무림페이퍼 진주공장는 이미 흑액을 활용해 공장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절반을 자가발전하고 있고, 증기는 100% 자체적으로 충당하고 있다. 다른 제지회사들이 제지를 건조하는 데 쓰는 스팀을 LNG, 벙커C유를 연소해 생산하는 반면, 무림P&P는 흑액을 사용해 기름 한 방울 쓰지 않고 종이를 만든다. 이형수 무림의 공장장은 "외국에서는 흑액을 이미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인식해 이를 활용한 연구를 다양하게 펼쳐 왔지만 국내에서는 무림페이퍼와 무림P&P가 유일하다"며 "펄프와 제지를 중심 축으로 하면서 흑액 등을 활용한 에너지 사업에도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종이는 전 세계적으로 소비가 줄고 있지만 펄프의 상업화 가능성은 무궁무진해 펄프에서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을 찾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국내 유일의 펄프·제지 일관화 공장으로 펄프공장과 제지공장을 이송관으로 연결해 수분 상태의 슬러리 펄프를 공급받아 종이를 생산해 원가 경쟁력이 있으면서 품질도 한 수 위"라며 "앞으로 종이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에너지 사업을 확대해 울산공장을 펄프·제지공장을 넘어선 차별화된 공장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특히 올해는 유가상승등으로 올해 연절감액은 무림그룹 전체로 6천억원을 넘고 남는 흑액에서 나온 벙커씨유는 외부에 판매할 계획
7.펄프 가격은 2020년 평균 1톤당 553달러까지 떨어졌다. 제지업계에서는 펄프 가격의 손익분기점(BEP)은 1톤당 720달러로 분석한다. 통상 펄프 가격이 BEP를 밑돌면 영업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펄프 가격 하락은 현금흐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NCF는 2017년 1051억원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이듬해 NCF는 1022억원으로 감소하더니 2019년에는 2년 만에 522억원을 기록하며 2017년의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2020년 NCF는 321억원까지 줄었고, 결국 이듬해 -153억원으로 떨어졌다. 지난 5년간의 현금흐름 감소세를 깰 '시그널'이 감지됐다. 글로벌 펄프 가격이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지난해 11월 펄프 가격은 1톤당 655달러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강세로 전환됐다. 지난해 평균 펄프 가격은 1톤당 771달러로 전년보다 약 39.4% 증가해 720달러인 BEP를 웃돌았다. 올해 들어 펄프 가격은 더 올라 최근 1톤당 940달러까지 치솟았다. 유가 및 에너지 비용 등 제조원가 상승이 펄프 가격을 밀어 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무림P&P의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1622억원으로 전년 동기(1379억원)과 비교해 17.6%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 -89억원이었던 영업손익도 흑자 전환에 성공해 영업이익 104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도 46억원으로 나타났다. 펄프 가격이 강세를 보이자 현금흐름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NCF는 385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흑자 전환을 이뤘다. 또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151억원이었던 NCF가 2.6배가량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올 하반기에도 현금흐름이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무림P&P 관계자는 "주원료인 우드칩의 가격이 안정화 됐고, 국제 펄프 가격 상승에 따라 판매 가격 상승이 지속되고 있다"며 "국제 펄프 가격의 강세가 인쇄용지 판가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제지 부문의 수익성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이에 무림페이퍼 실적 또한 크게 좋아질 전망이다. 이 관계자는 "해상운임 강세가 상반기 피크아웃(정점 통과) 후 하반기 둔화될 것으로 예상돼 수출 부문의 수익성도 개선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무림그룹은 향후 무림p&p를 무림페이퍼에 합병시켜 합병무림페이퍼를 아시아1위 ,국내1위 세계3위의 글로벌 친환경소재기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무림그룹은 공정거래법상 손자회사를 지배할수 없다는 원칙에 따라 2023년 상반기까지 두회사를 합병해야한다.
전문가방송
연관검색종목 12.03 07:00 기준
0/1000 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