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해외시황

2022/07/01 뉴욕 국내증시와의 상관관계

인포스탁 2022.07.01

뉴욕 국내증시와의 상관관계

최근 코로나19 백신 본격화 등에 따른 경제 재개 기대감 등에 강세 흐름을 이어가던 뉴욕증시는 美 공격적 긴축 우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에 따른 재확산 우 려 등이 지속되면서 조정 장세를 보이고 있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악재로 작용.

미국 중앙은행(Fed)은 2020년 3월 코로나19 여파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기존 연 1.00%~1.25%에서 0.00%~0.25%로 긴급 인하했으며, 긴급 금 리인하와 함께 추가 양적완화(QE)를 시행하기로 했음. 다만, 최근 FOMC 회의를 통해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축소하는 테이퍼링과 함께 금리 인상을 예고하는 등 본격적인 긴축 행보를 보이고 있음. 연준은 올해 6월 FOMC 회의에서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 를 0.75%p 인상. 연준이 기준금리를 0.75%p 인상한 것은 앨런 그린스펀 전 Fed 의장 시절인 1994년 11월 이후 28년 만에 처음임. 제롬 파월 의장은 6월 FOMC 회의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다음 회의에서도 비슷한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올릴 수 있다”며, “ 지금 상황에서 볼때 7월 회의 때는 50bp 혹은 75bp 금리 인상을 할 것 같다”고 언급 했음.

일반적으로, 세계증시간 동조화 추세에 따라 시장간 상관성은 항상 존재하며, 뉴욕증시의 등락 및 관련 재료등에 따른 국내증시의 민감도는 상당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특히, 반도체를 포함한 주요 IT 기술주 및 자동차 등 주 수출 주들은 뉴욕발 이슈에 따른 연동성이 매우 높음.

뉴욕 상관업종-테마-종목

IT대표주 -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삼성SDI, SK하이닉스, 삼성전기 등

소매 - 신세계, 현대백화점, 롯데쇼핑, 이마트, 롯데하이마트, 대구백화점 등

자동차 - 현대차, 기아, 쌍용차, 현대모비스 등

증권 -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대신 증권, 키움증권, 한국금융지주, NH투자증권 등

은행 - KB금융,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기업은행, BNK금융지주 등

정유 - SK이노베이션, S-Oil, GS 등

뉴욕 마감시황

6/30(현지시간) 뉴욕증시 하락, 다우(-0.82%)/나스닥(-1.33%)/S&P500(-0.88%)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이날 뉴욕증시는 상반기 마지막 날을 맞아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며 3대 지수 모두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82%, 0.88%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1.33% 하락. 특히, S&P500지수는 연초 이후 20% 가량 하락하면 서 1970년 이후 최대 상반기 낙폭을 기록했으며, 나스닥지수는 역대 최대 상반기 낙폭을, 다우지수는 1962년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짐.

이날 발표된 PCE 물가 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다소 밑돌았지만, 여전히 급등세를 이어간 가운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연방준비제도(Fed)가 선호하는 인 플레이션 지표인 5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예상보다는 소폭 낮았지만, 여전 히 전년동월대비 급등하며 고공행진을 지속했음. 美 상무부는 5월 근원 PCE 가격 지수가 전년동월대비 4.7% 상승했다고 발표.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 상치와 전월치를 소폭 밑도는 수치임. 전월대비로는 0.3% 상승해 4개월 연속 0.3% 상 승을 유지했음.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포함한 5월 PCE 가격 지수는 전년동월대비 6.3% 상승했음. 이는 전월치와 같은 수준임. 전월대비로는 0.6% 상승해 전월 기록 한 0.2% 상승을 크게 웃돌았음. 이에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됐고,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 긴축 우려가 지속되며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는 모습.
아울러 애틀랜타 연은 홈페이지에 따르면, 애틀랜타 연은의 GDP 나우 모델로 추정한 미국의 2분기 실 질 GDP 성장률(계절 조정치) 전망치는 이날 기준 -1.0%로 집계됐음. 이는 지난 27일 집계된 0.3%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대로 떨어진 것으로 지난 1분기 GDP 성장률 확정 치 -1.6%에 이어 두 개 분기 연속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 것 임. 도이체방크가 이날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투자자들의 90%가량이 미국이 2023년 말 전에 경기침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음.

한편, 美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계절조정 기준으로 전주대비 2,000건 감소한 23만1,000건을 기록. 이는 시장 예상치보다 다소 부진한 수치임. 6월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6.0으로 전월 60.3 대비 하락했으며, 시장 예상치도 밑돌았음.

이날 국제유가는 OPEC+ 증산 규모 유지 속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급락.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4.02달러(-3.66%) 급락한 105.76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경기 침체 우려 지속 속 강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약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4거래일 연속 하락.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소매, 에너지, 경기관련 소비재, 통신서 비스, 소프트웨어/IT서비스, 의료 장비/보급, 운수, 제약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유틸리티, 산업서비스, 보험 업종 등은 상승. 종목별로는 애플(-1.80%), 마이크로소프트(-1.32%), 아마존(-2.49%), 알파벳A(-2.45%), 메타(-1.64%), 넷플릭스(-1.96%), 엔비디 아(-2.46%), 테슬라(-1.76%) 등 대형 기술주들이 동반 하락. 특히, 올 상반기 기준으 로 넷플릭스가 71% 폭락했고, 메타, 애플, 알파벳A는 52%, 23%, 24.8% 급락세를 기록. 약국체인 월그린 부츠 얼라이언스(-7.27%)는 분기 수익이 급감하며 급락했고, 고급 가구 체인업체 RH(-10.56%)는 연간 이익 악화 경고 속 급락. 유니버셜 헬스 서비스(-6.09%)도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실적에 큰 폭 하락. 한편,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마이크론 테크놀로지(-1.32%)는 분기 주당순이익(EPS)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지만, 향후 실적 전망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정규장 하락에 이어 시간외 거래에서도 하락 세를 보임.

다우 -253.88(-0.82%) 30,775.43, 나스닥 -149.15(-1.33%) 11,028.74, S&P500 3,785.38(-0.88%), 필라델피아반도체 2,556.25(-1.07%)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