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1 08:35:04
삼성전자의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계획에 자회사로 편입된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올해 들어 150% 넘게 급등하는 등 로봇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NAVER가 호실적과 함께 이해진 창업자가 7년만에 복귀한다는 소식에 AI 기술에
대한 기대감으로 52주 최고가를 기록한 후 이날은 주춤했다.
카카오도 챗GPT 개발사 오픈 AI와 전략적 제휴를 한다는 소식에 최근 강세다.
SK그룹도 최태원 회장이 나서 SK텔레콤을 주축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신사업
추진 계획과 유망 투자처 발굴 등 AI 로봇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주목 받고 있다.
로봇주는 트럼프 정부의 로봇 도입 가속화가 전망되며 수혜주로 꼽히고 있다.
휴림로봇(27.54%), 유일로보틱스(19.68%), 알에스오토메이션(17.22%)
글로벌 관세전쟁 우려 속에 관세에서 자유로운 엔터주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BTS가 오는 6월부터 완전체 활동을 재개할 전망이고, 블랙핑크도 하반기부터
완전체로 월드투어 콘서트를 진행한다는 소식이 투심에 긍정적 재료다.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주석이 11년 만의 방한 가능성이 높고,
한한령 해제와 관련한 긍정적 기류도 주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미국 관세 영향이 없다는 점, 엔화 강세 등 우호적 환경 등도 긍정적이다.
중국 무비자 입국이 허용돼 중국에서 기획상품(MD) 시장 성장과 앨범 공동구매,
콘서트 재개 등 기대감도 커진 상황이다.
하이브(1.5%) 에스엠(5.4%) JYP Ent.(1.4%) 디어유(7.6%) SAMG엔터(↑)
10일 코스피 지수는 0.65포인트(-0.03%) 소폭 하락한 2521.27로 마감했다.
트럼프 보편관세 우려에 외국인과 개인은 팔았지만, 연기금을 비롯한 기관투자가
순매수하며 선방했다.
우리금융지주(5.98%)가 지난 주말 호실적을 발표하고, 비과세 배당 도입 추진과
자사주 매입 소각 등 주주가치 제고 소식에 급등했다.
삼성전자(3.54%)는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세에 급등하며 지수를 끌어 올렸다.
트럼프가 추진하고 있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여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인도시장에서 ‘갤럭시 S25 시리즈’의 사전판매 흥행 소식도 호재로 작용했다.
코스닥 지수는 0.91%오르며 5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뉴욕증시는 트럼프 관세로 미국의 제조업이 보호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투심이
회복되며 일제히 반등하며 상승 마감했다.
다우(0.38%), S&P500(0.67%), 나스닥(0.98%), 반도체(1.46%)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포인트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고,
관련주들은 큰 폭으로 올랐다.
엔비디아(2.87%)는 빅테크 기업들이 AI 투자를 늘리겠다고 밝히며 반등세를
이어갔고, AMD(2.71%) 등 반도체주들이 일제히 상승했다.
테슬라(-3.01%)는 머스크가 오픈AI 인수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지며 하락했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즉각 인수 제안을 거절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와 관련해 늦어도 12일 전에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반도체·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혀 주목된다.
KDI가 최근 우리 경제 상황에 대해 대외 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는 진단을 내놨다. 지난달 발표한 경제동향에서 2023년 1월 이후 처음으로
"하방 위험 증대"라는 표현을 사용한 데 이어 두 달째 부정적인 언급을 유지했다.
오늘(12:00)은 KDI가 경제 전망을 내놓는다.
국내증시 개장전 미국 선물지수는 -0.2%대 약보합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화요일(11일) 코스피 지수는 2530선 전후에서 상승 출발이 예상된다.
10일(월) elw 매매에서는 단타 매매로 62% 수익을 챙겼습니다.
투자원금 3개(300만원)로 당일 단타 대응해 62만원 수익을 실현했습니다.
매수 걸기 후 매도 걸기를 제시해 직장인도 만족하는 리딩입니다.
급등락장에서 더 큰 수익을 내는 elw 매매에 동참해 보십시오.
팍스넷 전문가 모집 안내 자세히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