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쇼핑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모습. 연합뉴스 |
[파이낸셜뉴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K푸드 수출 등 사업 전선에 빨간불이 켜진 국내 주요 식품사들이 법인세 감면 등 세제 혜택과 환율 안정화를 최우선 수출 안정화 정책으로 뽑았다. 강달러에 따른 원자재 값 상승과 미국의 보편관세 리스크에 따른 수출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업계 전반의 논의가 시급하다는 목소리다.
22일 본지가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에 맞춰 국내 주요 식품사 수출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환율 안정화를 수출 분야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원자재값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어서다.
농심 관계자는 "환율 리스크가 장기화되면 수입 원자재값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통화 스와프 등 환율을 안정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농심은 대미 사업의 경우 현지 공장을 통해 생산·판매하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공약한 10~20% 보편관세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입장이다.
대상은등에 따른 변화에 대해 모든 기업이 긴장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대상 관계자는 환율 상승에 따른 원자재 값 상승,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검토 등 대미 수출 환경 급변에 대해 "K푸드 열풍이 미국을 중심으로 잦아들까 우려된다"며 "K푸드의 인기가 이어질 수 있도록 대미 수출 국산 농산물의 비관세 정책에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써야 할 시기"라고 했다.
SPC그룹 관계자는 "보편 관세의 경우 부과 대상 품목이나 세율 등이 확정되지 않고 있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CJ제일제당 관계자도 "환율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수입 원자재값 인상이 불가피한 만큼 적절한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보편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권인
삼양식품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불닭볶음면으로 K푸드 명성을 이어가고 있는 삼양식품은 미국 공장이 없어 100% 국내에서 생산해 해외로 수출하고 있다. 지난해 3·4분기 기준 매출 1조2491억원 가운데 수출이 962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어느 정도 윤곽이 나와야 실제 영향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개별 기업의 대응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세제 혜택 등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식품업계에선 수출 기업의 법인세 감면이나 수출 바우처, 보조금 등 세제 혜택과 수출 통관 절차 간소화 등 범정부 차원의 지원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분위기다.
그러나, 정치 불확실성 등에 따른 정부 한계론도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상황을 고려하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노선을 바꾸거나 환율을 안정화 시키는게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K푸드 #식품사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