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전경. 뉴스1 |
[파이낸셜뉴스] SK하이닉스는 25일 올해 2·4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메모리반도체 제조사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투자 증가에 따른 공급 과잉 우려에 선을 그었다.
SK하이닉스는 "현재 투자와 생산은 일반 D램과는 확연히 다른 HBM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투자 증가는 공급 과잉이라는 단순 논리는 적용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HBM은 다이사이즈 패널티와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성을 고려하면 투자가 증가하더라도 생산 증가는 제한적"이라면서 "생산 증가 제약은 HBM 세대가 업그레이드 될수록 가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SK하이닉스는 "HBM은 1년 이상 고객 주문 물량을 기반으로 투자가 결정된다"며 "HBM 투자 증가는 곧 제품 주문 증가를 의미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AI) 산업 내 경쟁 심화로 HBM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공급사들의 캐파(생산능력) 확대에도 여전히 공급 부족 현상은 지속되고 있다"며 "지금은 AI 서버에 집중해 수요가 발생하고 있지만, 향후 다양한 응용처로 AI가 적용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메모리 제품이 출현할 것이며, 이에 대한 수요가 생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SK하이닉스는 "고객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수요의 가시성을 높이고, 고객 수요가 확실한 제품을 중심으로 투자를 집중해 시장의 안정적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D램 #낸드 #HBM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