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5년 시행계획' 확정  |
2025년 9대 중점 추진과제별 투자계획. 과기정통부 제공 |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지역 주도의 과학기술 혁신을 통해 신산업 생태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올해 5조6914억원을 투자한다. 지자체도 9614억원을 보태 총 6조6528억원을 투입해 지역이 주도하는 과학기술 혁신 추진체계를 안착시킨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14일 17개 시·도 및 관계부처와 함께 '제6차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 2025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올해에는 중앙정부 5조6914억원, 지자체 9614억원 등 총 6조6528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창업·기업 경쟁력 향상에 1조6210억원, 지역 대학·연구기관의 거점화에 1조5153억원, 지역 교육 및 산업 활성화에 1조801억원 등을 투자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지자체별로 수립한 과학기술혁신계획에 기반해 기획된 지자체 주도의 2026년 신규 사업은 소관 부처와 예산을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또, 지역기술혁신허브 선정, 지역혁신선도기업 육성 등을 통해 지역전략산업을 키워 지역 혁신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초격차 산업분야의 신제품·서비스 개발 등에 관한 상용화 R&D를 지원하는 메가시티협력 첨단산업도 새롭게 육성해 지역경제 혁신성장을 견인할 계획이다.
지난 2024년에는 중앙정부 5조545억원, 지자체 9961억원 등 총 6조506억원을 지역에 투입했다. 우수 지역혁신클러스터 발굴·육성에 2조1075억원, 지역대학·연구기관의 거점화에 1조3041억원 등에 중점 투자했다.
강원도 디지털 헬스케어, 경상남도 우주산업, 전라북도 미래 모빌리티, 충청남도 수소에너지 등 지자체 특성을 고려한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사업 통해 신산업 생태계 구축 기반을 마련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도입은 지자체의 행정·재정적 권한을 확대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 대학과 출연연구기관 간 벽 허물기를 목적으로 추진된 학연 공동연구소·학연 공동기술이전센터 설립 등은 대학과 출연연구기관 간 협업 역량을 확대해 지역혁신을 강화했다.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 위원장인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이번 시행계획을 통해 지역 주도의 과학기술 혁신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정부는 지역과 함께 전략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지역 인재 육성, 산·학·연 협력 강화 등 지역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과학기술이 지역 발전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R&D #과기정통부 #과학기술 #지자체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