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2023.09.14 14:54 댓글0
![]() |
엔젠바이오 CI (사진=엔젠바이오 제공) |
[서울 = 뉴스핌] 메디컬투데이 = 엔젠바이오가 체액검사 기반 퇴행성 뇌 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미국 특허출원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특허출원한 기술은 기존 진단 방법과 달리 뇌척수액을 채취하지 않고 혈액으로 치매 환자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치매 환자에서 특이하게 증가하는 마이크로RNA(miRNA)를 탐지한다. 타깃 바이오마커가 검출될 경우 빛을 발하게 하는 형광 프로브를 이용해 환자의 불편함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환자의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퇴행성 뇌질환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
엔젠바이오는 약 2조 원에 달하는 미국 알츠하이머 시장에서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이번 특허를 출원했다는 설명이다.
회사는 기존에 특허출원을 완료한 파킨슨병 치매 및 루이소체 치매 바이오마커와 결합해 AI 기반으로 다양한 원인의 치매를 분류하고 조기진단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한 제품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제품개발과 함께 인수 추진 중인 CLIA랩(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s Lab, 미국 실험실 표준 인증연구실)에서 LDT(Laboratory Developed Test, 실험실 자체 개발 테스트) 서비스를 셋업해, 미국시장에서 NGS 기반 암 정밀진단검사와 함께 치매 조기진단검사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엔젠바이오 최대출 대표이사는 "고령화 시대의 대표 질환인 치매 조기 진단뿐만 아니라, 암 발병 후 환자 맞춤 치료를 위한 NGS 정밀진단과 항암제의 치료효과를 예측하는 동반진단, 치료제의 효과를 진단할 수 있는 액체생검 기반 예후 진단 등 핵심 기술들을 지속적으로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연내 인수를 추진중인 미국 CLIA랩과 미국법인인 NGeneBioAI를 통해 미국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데이터 기반의 AI진단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는 메디컬투데이가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전문가방송
연관검색종목 11.28 21:00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