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직원·퇴직자 회사와 수의계약
국정감사의 단골 소재인 시중은행의 행우회·동우회 일감 몰아주기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발생한 은행권 부당대출 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전현직 행원들의 온정주의, 이른바 '끼리끼리' 문화가 꼽히는 가운데 4대 시중은행에서 5년간 몰아준 수의계약 총액이 3000억원을 넘는다.
23일 파이낸셜뉴스가 국회 정무위원회 이인영 의원실을 통해 금융감독원과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4대 은행 전현직 직원들이 모여서 만든 각종 회사들이 각 은행과 최근 5년간 수의계약한 사업 규모는 총 3349억5800만원으로 집계됐다.
우리은행행우회가 설립한 윈피앤에스는 우리은행과 2505억원 규모의 수의계약을 맺고 있다. 자본금 40억원 규모의 윈피앤에스는 지난 2023년과 2022년 각각 40억원, 30억원을 배당했다. 배당성향이 48.33%, 34.27%에 달한다. 원피앤에스 대표는 우리은행에서 '주의' 처분을 받고 퇴임한 A부행장이다. 전임 B 대표도 우리은행에서 부행장을 지냈다. B 대표는 손태승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재직 당시 여신그룹담당 부행장보를 맡았다. 손태승 전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 사건의 핵심 관계자로 꼽힌다.
신한은행은 신한은행동우회가 100% 소유한 신우리와 2020년부터 경조화 배송서비스 계약을 맺었다. 건당 10만원인데 집계된 총액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신한은행에는 2개의 동우회가 있는데 조흥은행과 통합 전 신한은행 출신들이 설립한 신한은행동우회가 신우리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다.
신한은행 통합 이후 설립된 '더뱅크(The Bank), 신한동우회'는 신한서브와 모기지파트너스 지분을 모두 갖고 있다. 1925년 설립된 신한서브는 경비업, 인쇄업, 자동화코너 등 은행 운영의 후선업무를 담당한다. 역대 신한서브 대표도 신한은행 부행장급 출신들이 맡고 있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동우회가 설립한 회사의 대표는 임원 승진이나 연임 과정에서 낙마한 이들을 챙겨주는 자리"라며 "은행을 상대로 한 계약이 주된 먹거리인 만큼 입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행우회 일감 몰아주기는 국회에서 매년 지적되는 문제임에도 여전히 일부 은행들에선 시정되고 있지 않다"며 "행우회 본연의 목적을 넘어선 과도한 특혜 및 수익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