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부문 기준 매출액증가율 당기순이익 증가율 ROE

이복현 "우리금융 회장 임기 채워야… 경영실태평가는 별개"

파이낸셜뉴스 2025.02.19 18:39 댓글0

20개 은행장과 간담회
회장 거취 논란에 선 그어
내부통제 부실 수습 강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20개 국내은행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은행권의 당면 현안과 발전방향 등을 논의했다. 앞줄 왼쪽부터 이희수 제주은행장, 방성빈 부산은행장, 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 이광희 SC제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복현 원장, 이환주 KB국민은행장, 백종일 전북은행장, 고병일 광주은행장,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이사. 뒷줄 왼쪽부터 허종구 경남은행 부행장, 안종혁 수출입은행 수석부행장, 황병우 아이엠뱅크 은행장, 정진완 우리은행장, 강태영 NH농협은행장, 이호성 하나은행장, 김성태 IBK기업은행장,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 김복규 산업은행 수석부행장, 장문호 수협은행 부행장, 박충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금융감독원 제공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임기를 채워야 한다"며 임 회장의 거취 논란에 선을 그었다.

이 원장은 1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20개 은행장과 간담회를 가진 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은행 내에 현실적으로 파벌도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흐트러진 상황에서 임종룡 회장이 갑자기 빠지면 거버넌스 관련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임 회장이 임기를 지키고, 거버넌스가 흔들리지 않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 거꾸로 회장이나 행장 입장에서 보면 본인들의 직을 걸고 체질 개선 및 환골탈태를 이끌어야 하는 거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앞서 금감원은 우리금융지주·은행 등에 대한 정기검사 결과를 밝히면서 임 회장이 취임한 뒤에도 상당 규모의 부당대출이 발생했음을 명시하는 등 현 경영진의 '책임론'을 부각시켜왔다. 이를 두고 '임 회장의 사퇴를 포함한 거취 정리를 요구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불거지자 이 원장이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우리금융의 경영실태평가는 이와 상관없이 엄정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우리금융의 거버넌스가 유지된 채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는 당위성과 (우리금융이) 아무렇게나 해도 된다는 것과는 전혀 다른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경영실태평가 결과가 좋게 나온다고 해도 현 수준의 거버넌스나 관리 역량에서 이렇게 외연을 확장해도 되는지 통철한 점검이 필요할 것"이라며 "결과가 나쁘게 나온다면 더더욱 (외연 확장은) 어쩔 수 없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금감원의 경영실태평가 결과 3등급 이하로 나올 경우 우리금융이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동양·ABL생명 인수·합병(M&A)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은행권에서 대형 금융사고가 되풀이되는 원인으로는 내부통제 부실과 함께 금융권 내 온정주의 문화를 꼽았다. 이 원장은 최근 대규모 부당대출 사고를 낸 IBK기업은행에 대해서도 "결국 '끼리끼리' 문화나 온정주의, 외연 확장주의에서 비롯됐다"며 "매우 심각해서 엄하게 보고 있고, 큰 책임을 물으려고 생각중"이라고 전했다.

은행권 최고경영자(CEO) 선임 과정 논란 등에 아쉬움을 표한 것과 관련해서는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임기 논란 등 특정 사안을 겨냥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다만 "국민들에 '셀프 연임'으로 오해받을 수 있는 지점이나 '왜 불가피한 것인지' 등과 관련한 논의가 주주나 소비자들에게 공유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신한카드, KB국민카드 등이 애플페이 도입에 나서면서 삼성페이도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자체 시뮬레이션 결과 추가적인 수수료 부담이 소비자나 가맹점에 피해를 줄 정도가 아니라 카드사가 흡수할 수 있을 정도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은행장들은 지방 자금공급을 위해 추가 대출 한도를 부여하고 저신용자 대출 상품의 경우 가계대출 관리 대상에서 제외해달라는 내용의 건의사항을 전달했다.

이 원장은 "지방 부동산이나 지역 건설사 어려움과 관련해 수요 사이드에서 어떻게 조금 여유를 드릴 수 있는지, 공급 측면에서는 어떻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을 정상화할 수 있을지 등에 관해 이야기를 나눌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전문가방송

  • 진검승부

    대선 후보 지지율과 정치테마주 주가 연관성 분석

    04.21 19:00

  • 진검승부

    조기 대선 관련주 총정리

    04.18 19:00

  • 진검승부

    한덕수 대장주 수익 실현! 다음 대장주는?

    04.17 19:00

전문가방송 종목입체분석/커뮤니티 상단 연계영역 전문가 배너 전문가방송 종목입체분석/커뮤니티 상단 연계영역 전문가 배너

외국인연속 순매수 기록중인 저평가주는?

최저금리 연계신용대출로 투자수익극대화
1/3

연관검색종목 04.22 02:30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