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부문 기준 매출액증가율 당기순이익 증가율 ROE

정유업계, 지난해 휘발유·경유 수출량 사상 최대

파이낸셜뉴스 2025.02.02 13:18 댓글0

원유도입량 중 수출량 비중도 52.5%로 역대 최고
석유제품 총 수출량은 4억9000만 배럴...역대 2위
경영여건 악화에 고부가 제품 수출확대로 돌파


<span id='_stock_code_096770' data-stockcode='096770'>SK이노베이션</span> 울산 콤플렉스(CLX) 전경. SK이노베이션 제공
SK이노베이션 울산 콤플렉스(CLX) 전경. SK이노베이션 제공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정유업계가 수출한 휘발유와 경유 물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한석유협회(KPA)는 2일 지난해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가 수출한 휘발유가 1억1189만 배럴, 경유는 2억 166만 배럴을 기록해 석유 수출통계가 작성된 1992년 이후 최대치라고 밝혔다.

휘발유, 경유 수출 신기록에 힘입어 전체 석유제품 수출도 전년대비 4.8% 증가한 4억 9045만 배럴로, 2018년에 이어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이는 상암 월드컵구장을 대략 33번 가득 채울 수 있는 물량이다. 또 작년 우리나라가 수입한 원유 중 52.5%를 정제하여 수출한 셈으로 수출비중도 최고치를 나타냈다.

다만, 석유제품 수출액은 수출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 하락의 여파로 2.9% 감소한 451억7000만달러(약 61조 6100억원)로 집계됐다.

석유협회는 이 같은 휘발유, 경유 수출량 최대치 기록은 지난해 글로벌 정제마진 약세로 경영여건이 악화된 가운데 국내 정유사가 경질석유 제품 수출확대로 돌파구를 모색한 결과로 평가했다. 휘발유, 경유 이외에 고부가가치 제품인 항공유 수출량도 3% 늘어난 8826만 배럴에 달했다.

제품별 수출량 비중으로는 경유가 41.1%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휘발유(22.8%), 항공유(18.0%), 나프타(8.1%) 순으로 나타났다. 휘발유 수출은 전년대비 12.1%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낸 가운데 일본 수출량은 33% 급증했다. 일본은 탈탄소화 및 에너지 절약 일환으로 10년 전 정유공장을 통폐합하여 정제능력과 연료생산이 감소중인데, 지난해 엔저현상에 따른 해외 관광객 급증으로 휘발유와 항공유 부족 사태를 겪은 바 있다.

국가별 수출량은 호주(18%), 일본(12.9%), 싱가폴(12.5%), 미국(8.8%), 중국(8.7%) 순으로 일본이 싱가폴을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호주는 2022년 이후 3년 연속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국으로 경유를 가장 많이 수출하고 있다. 이는 호주 정부가 에너지 안보를 위해 7억 8000만 리터의 경유 저장시설을 확충했고, 작년 하반기부터 석유수입업자에 대한 의무비축 일수도 28일에서 32일로 확대·강화한 영향인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올해는 글로벌 경제가 美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에너지·통상 정책 영향 등으로 불안정성이 높아져 석유제품 수출환경도 녹록치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며, “정유업계는 정제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출국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에 주력해 석유제품 수출의 질을 더욱 높여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yon@fnnews.com 홍요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전문가방송

  • 진검승부

    주식투자는 심리싸움입니다

    03.17 06:00

  • 백경일

    ■한화시스, 현대로템, 삼양식품, 한화오션, 한화에어, LIG넥스원,[대장주를 잡아라!]

    03.28 08:30

  • 백경일

    ■한화시스, 현대로템, 삼양식품, 한화오션, 한화에어, LIG넥스원,[대장주를 잡아라!]

    04.11 08:20

전문가방송 종목입체분석/커뮤니티 상단 연계영역 전문가 배너 전문가방송 종목입체분석/커뮤니티 상단 연계영역 전문가 배너

수익률 좋은 스탁론 인기 종목은?

내 자본금의 300% 운용 하러 가기
1/3

연관검색종목 03.17 10:30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