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부문 기준 매출액증가율 당기순이익 증가율 ROE

한류 주도株 엔터·화장품 투자 해외진출 노리는 기업도 발굴[이런 펀드 어때요?]

파이낸셜뉴스 2025.02.23 18:08 댓글0

TIMEFOLIO K컬처액티브 ETF



TIMEFOLIO K컬처액티브 ETF는 투자 기업들을 쉽게 이해하길 원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을 원하는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질만하다.

23일 타임폴리오자산운용에 따르면 13일 기준 TIMEFOLIO K컬처액티브 ETF의 1년 수익률은 24.50%다. 같은기간 벤치마크(BM)인 FnGuide K-컬쳐 지수의 수익률 -0.42%보다 24.9%p 웃도는 수치다. 이 상장지수펀드(ETF)의 기간별 수익률은 1주일 1.03%, 1개월 6.56%, 3개월 6.90%, 연초이후로는 4.63%, 2021년 12월 15일 설정 후 기준 0.55%다.

이같은 견조한 수익률은 투자하는 시점에서 가장 성장성이 유망한 기업들을 포트폴리오에 편입해서다. 수출데이터나 주요 채널의 트렌드를 적극적으로 확인해 해당 기업이 해외 시장에서 얼마나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지를 보고 비중을 조절한다. 해외 시장을 개척하지 않았지만 향후 해외진출시 큰 성장이 예상되는 기업들은 해외진출 계획이 수립되는 시점에서 적극적으로 조기에 편입한다.

2023년 하반기 중국에서 한국 아이돌 팬덤들의 앨범 사재기를 금지하면서 엔터 섹터가 부진했다. 이때 K컬처 액티브 ETF는 부진한 엔터 섹터를 줄이고, 당시 미국에서 K-화장품의 인기가 급상승한 것에 착안해 중소형 화장품 비중을 늘렸다. 최근 해외에서 인기가 급상승하면서 성장 중인 삼양식품, 파마리서치 등이 대표적이다.

2024년까지 성장세 보였던 화장품 섹터의 성장율이 둔화되면서 섹터에 대한 밸류에이션 조정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K컬처 액티브 ETF는 올해 이익 성장이 기대되는 엔터 섹터의 비중을 늘리고 있다.

지난 14일 기준 이 ETF의 주요 편입 종목으로는 하이브(11.2%), JYP Ent.(10.1%), 에스엠(9.5%), 파마리서치(7.2%), 삼양식품(6.7%), 디어유(6.4%), 와이지엔터테인먼트(5.5%), 펄어비스(5.1%), 스튜디오드래곤(4.3%), 큐브엔터(4.1%), 브이티(3.5%), 크래프톤(3.3%), 실리콘투(3.1%) 등이다.

이정욱 타임폴리오자산운용 ETF본부 부장은 "전세계를 누비며 투어콘서트를 하는 한국의 아이돌에 이어 최근에는 K-푸드까지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은 올해 해외 투자자들이 한국 증시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보고 있다. 2024년 미국 증시가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국내 증시는 마이너스 수익율을 보여서다.

이 부장은 "최근 중국 정부가 국내 경기 둔화 및 미국과의 무역 전쟁으로 힘겨운 시기를 지내고 있다. 이에 한국에 유화적인 제스쳐를 보내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이런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 중국시장이 열릴 시 가장 수혜를 볼 기업과 섹터로 비중을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ggg@fnnews.com 강구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전문가방송

  • 진검승부

    이재명 정책주 공략법

    04.25 19:00

  • 진검승부

    눌림목과 낙폭과대 공략할 때 차이

    04.24 19:00

  • 진검승부

    대선테마주 비중 조절의 중요성

    04.23 19:00

전문가방송 종목입체분석/커뮤니티 상단 연계영역 전문가 배너 전문가방송 종목입체분석/커뮤니티 상단 연계영역 전문가 배너

외국인 동시매수 & 등락률 상위 종목 확인 하러 가기

연 2%대 금리로 투자금 3억 만들기
1/3

연관검색종목 04.27 16:00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