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대와의 연구협력, 신약개발에 도움 줄 것"  |
김성진 메드팩토 대표. 메드팩토 제공 |
[파이낸셜뉴스] 김성진 메드팩토 대표가 미국 예일대학교 의과대학 '겸임교수(Professor Adjunct)'로 임용됐다고 6일 밝혔다. 예일대 교수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연구자문을 맡은 사례는 있지만,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대표가 예일대 의과대학 겸임교수로 임명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 대표는 현재 메드팩토에서 개발하는 혁신신약 후보물질 임상에 관해 예일대 의대팀과 다양한 협력관계를 마련해 갈 예정이다. 또 예일대 소속 세계적 암 전문 교수들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혁신적인 암 치료법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TGF-β(형질전환증식인자) 수용체 유전자의 결손과 돌연변이가 인간 주요 암의 암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해 ‘네이처’지 등에 발표했을 뿐 아니라, 한국인 최초, 세계 5번째로 인간의 개인 게놈지도를 해독했으며 한국인 위암 유전체 해독 등 총 320여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또한 그는 1987년부터 20년간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암연구소(NCI) 종신수석연구원으로 재직하다 2007년 한국으로 돌아와 가천대 이길여암당뇨연구원장, 차의대암연구소장, 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정밀의학센터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는 메드팩토 대표 겸 길로재단 연구소장으로 다양한 질병의 기초 연구에도 매진하고 있다.
한편 메드팩토 관계자는 "김성진 대표가 총괄하는 메드팩토 파이프라인 개발 및 임상 등 연구개발 분야는 차질 없이 진행될 것"이며 "예일대와의 협력 연구가 메드팩토의 신약 개발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