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닉스·SKT 대표도 함께 참석
|
최태원 SK그룹 회장(오른쪽)이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회동을 마친 후 이동하고 있다.뉴시스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인공지능(AI) 반도체 및 AI 생태계 확대를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현재 오픈AI를 비롯해 주요 빅테크 기업 대부분은
SK하이닉스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탑재한 엔비디아 AI 가속기를 사용하고 있다. 또 SK그룹사들이 AI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만큼 그룹 전방위적으로 협력이 확대될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최태원 SK 회장은 4일 오전 9시50분께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 미팅룸에서 올트먼 CEO와 만나 35분가량 대화를 했다. 더플라자호텔에서는 오픈AI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하는 비공개 워크숍 '빌더랩' 행사가 열렸다. 이날 올트먼 CEO와 면담에는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 김주선 SK하이닉스 AI인프라 사장 등이 참석했다.
최 회장과 올트먼 CEO는 SK하이닉스의 HBM을 포함, AI 반도체 및 AI 생태계 확대를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트먼 CEO는 이날 회동에 대해 "원더풀(대단했다)"이라고 짧은 소감을 전했다.
최 회장과 올트먼 CEO는 지난해 6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오픈AI 본사에서 만난 후 약 7개월 만에 다시 만났다. 두 사람이 만난 건 이번이 세 번째다.
당시 최 회장은 자신의 SNS에 올트먼 CEO와 함께 찍은 사진과 함께 "샌프란시스코와 시애틀에 와서 IT 인싸들과 매일 미팅하고 있다"며 "우리가 들고 온 얘기들을 엄청 반겨주고 환대해줘 시차의 피곤함도 느끼지 않고 힘이 난다. AI라는 거대한 흐름의 심장 박동이 뛰는 이곳에 전례 없는 기회들이 눈에 보인다"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향후 오픈AI가 추진 중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SK하이닉스가 참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SK하이닉스 외에 오픈AI와 SK그룹과 접점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날 현장에는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도 참석했다. SK텔레콤은 오는 3월 글로벌 개인용 AI 에이전트(GPPA) '애스터'(Aster)의 베타 서비스를 선보이고 올해 출시를 준비하는 등 AI 관련 사업역량을 갖추고 있다. 최근엔 오픈AI가 참여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
MIT)의 생성형 AI 연구를 목적으로 한 컨소시엄에도 참여했다.
임수빈 조은효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