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부문 기준 매출액증가율 당기순이익 증가율 ROE

HD현대 '수소 상용화' 앞당긴다... 선박용 진공단열 기술 독자 개발

파이낸셜뉴스 2025.01.14 11:00 댓글0

대형 액화수소 운반선 조감도. <span id='_stock_code_009540' data-stockcode='009540'>HD한국조선해양</span> 제공
대형 액화수소 운반선 조감도. HD한국조선해양 제공

[파이낸셜뉴스] HD현대가 '선박용 액화수소 탱크 제작 및 진공단열 기술' 개발에 성공하며, 수소 상용화를 앞당긴다. 액화수소 안전 운송과 더불어, 수개월이 소요되던 작업도 며칠 만에 끝낼 수 있어 획기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HD현대의 조선 부문 중간지주사 HD한국조선해양은 최근 로이드선급(LR) 등 국제선급협회 소속 4개 선급으로부터 '액화수소 탱크의 진공단열 기술에 대한 기본승인(AIP)'을 획득했다고 14일 밝혔다. 4개 선급은 로이드선급(LR), 미국선급(ABS), 노르웨이선급(DNV), 한국선급(KR)이다. 앞서 지난달에는 노르웨이선급으로부터 ‘선박용 액화수소 탱크 제작을 위한 용접 절차(WPS)’에 대한 승인도 완료했다.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이번 기본승인으로 국내 최초 선박용 액화수소 탱크의 소재 선정과 검증, 용접 기술 모두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수소는 대표적인 미래 청정 에너지원으로 손꼽히고 있다. 하지만 선박용 대형 액화수소 저장 탱크의 설계 및 제작 기술 부족으로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 액화수소 탱크 제작을 위해 특수 소재를 활용한 표준화된 용접 절차와 평가 기준이 필요하지만, 이에 관한 규정이 전무한 상황이다. 더욱이 액화천연가스(LNG)보다 9배 이상 높은 액화수소의 증발률 억제를 위해서는 탱크 내 단열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어야 하는데, 현재 기술로는 오랜 시간이 소요돼 탱크의 대형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HD한국조선해양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8월 노르웨이선급과 공동 개발 프로젝트를 체결했다. 선박용 액화수소 탱크 제작을 위한 세부 기준 마련에 착수하고, 표준 용접 절차와 평가 항목을 만들어 선급 승인을 획득했다.

특히 진공단열 기술 독자 개발에 성공하며 수소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선박 운항 중에도 -253도의 극저온 환경에서 액화수소 탱크의 단열 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다량의 액화수소를 손실 없이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다. 또 탱크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데 필요한 시간을 크게 단축해, 기존 수개월이 소요되던 작업을 수일 만에 끝마칠 수 있다.

HD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수소 사회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며 "HD한국조선해양은 바다를 통한 수소의 운송과 저장 기술 개발을 선도해 수소의 상용화를 앞당길 것"이라고 밝혔다.

HD한국조선해양, 우드사이드에너지, MOL, 현대글로비스, 한국3M 관계자들이 지난해 10월 전주에서 액화수소 탱크 진공단열 기술 실증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 제공
HD한국조선해양, 우드사이드에너지, MOL, 현대글로비스, 한국3M 관계자들이 지난해 10월 전주에서 액화수소 탱크 진공단열 기술 실증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 제공

#LNG #탱크 #에너지 #청정 #액화수소 #선급 #기본승인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전문가방송

  • 백경일

    ■ 현대로템, 한화시스, 삼양식품, 한화오션, [대장주를 잡아라!]

    03.28 08:30

  • 백경일

    ■ 현대로템, 한화시스, 삼양식품, 한화오션, [대장주를 잡아라!]

    04.11 08:20

  • 진검승부

    이재명/오세훈株 폭락과 대선주 투자전략

    03.20 19:00

전문가방송 종목입체분석/커뮤니티 상단 연계영역 전문가 배너 전문가방송 종목입체분석/커뮤니티 상단 연계영역 전문가 배너

수익률 좋은 스탁론 인기 종목은?

내 자본금의 300% 운용 하러 가기
1/3

연관검색종목 03.22 05:00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