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밀도·출력·사용시간 개선
로봇시장 저변 확대 공동 마케팅도
|
지난 24일 현대자동차·기아 의왕연구소에서 열린 업무 협약식에서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현동진 상무(왼쪽), 삼성SDI 소형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조한제 부사장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차 제공 |
현대자동차·기아가 삼성SDI와 로봇 전용 고성능 배터리를 공동 개발한다. 현대차·기아는 지난 24일 경기 의왕연구소에서 삼성SDI와 '로봇 전용 배터리 공동 개발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현동진 상무와 삼성SDI 소형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조한제 부사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력은 양사가 각각 보유한 자원과 전문 기술 역량을 한 곳에 모아 로봇 최적화 배터리를 개발하고, 다양한 서비스 로봇에 탑재하겠다는 공동의 목표에 따른 것이다. 양사는 협업을 통해 배터리 형태를 제한된 공간에 최적화하고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켜 출력과 사용시간을 대폭 늘린 로봇 전용 고성능 배터리를 개발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신규 개발 배터리의 로봇 적용 평가 및 성능 고도화를 담당한다. 다년간의 로봇 개발 및 운용 경험으로 축적한 기술 노하우로 배터리 최대 충·방전 성능, 사용 시간 및 보증 수명 평가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삼성SDI는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해 고용량 소재를 개발하고 설계 최적화를 통한 배터리 효율 고도화를 추진한다.
양사는 이번 공동 개발이 로봇 전용 배터리 혁신을 위한 대표적인 협력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현대차·기아는 삼성SDI와 로봇 시장 저변 확대를 위한 공동 마케팅에도 나선다. 그 일환으로 다음달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하는 '인터배터리 2025'의 삼성SDI 전시관에서 현대차·기아의 서비스 로봇 달이와 모베드를 전시한다. 참관객과 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전시 로봇을 시연하고 로봇용 배터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선보인다.
현동진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장 현동진 상무는 "로보틱스랩의 로봇 기술과 삼성SDI의 배터리 기술을 결합하면 장기적으로 배터리 수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며 "시장 확대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갖춘 로봇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한제 삼성SDI 소형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 부사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로봇용 배터리 시장에서도 당사만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최고 품질의 제품을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