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 최근 이슈
8/21 기관 7거래일 연속 순매수
6/21 수주 증가로 인해 베트남 2법인 준공 소식에 상승을 보임. 동사는 일부 언론을 통해 고객사수주가 늘어나면서 생산량을 맞추기 위해 하반기 베트남 2법인을 준공할 계획이라고 밝힘. 2법인에서는 기존 1법인에서 생산하던 제품을 추가로 생산할 것이며, 이르면 올해 4분기부터 2법인이 가동될 것이라고 밝혔음
5/23 주당 1주 무상증자 결정에 강세를 보임. 동사는 보통주 1주당 신주 1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 신주상장예정일은 2019년6월25일임
@ 고사양 카메라 모듈 용 핵심부품(OIS, IRIS, AF Actuator) 및 관련 자동화 시스템 제조, 판매업체. 주력 제품은 스마트폰의 후면(Rear Camera/Main Camera) 카메라의 핵심부품으로 채택되고 있으며, 고사양용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고사양 스마트폰(High End 기종/Flagship model)에 채용.
국내 삼성전기 모듈사업부의 1차 Vendor로 공급제품은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을 포함한 중국 샤오미, 화웨이 등의 스마트폰에 채용되고 있음
- 종목진단
작년 8/28 상장이후 지속적인 하락을 보였고 10/30 5280원 저가를 기록하고 반등을 보였음. 5/23 주당 1주 무상증자 결정에 강세를 보였고, 6/21 수주 증가로 인해 베트남 2법인 준공 소식에 상승을 보인바 있음. 최근 기관수급이 매수의 연속성을 보이면서 상승을 보이고 있음. 기관수급의 매수의 연속성이 이어진다면 11500원 터치를 예상함.
- 매매전략
비중
10% 이내
손절가(마지노선)
8000원 이탈시 손절
목표가 :
1차, 11500원
투자전략/마켓스파이
지난 주말 뉴욕 증시는 일제히 하락을 보였는데 이는 홍콩 인권법 이슈로 미국과 중국이 진행중인 1단계 합의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이날 발표한 11월 제조업 PMI는 50.2로 전월과 시장 전망치를 모두 웃돌며 지난 4월 이후 기준치인 50을 회복하면서 중국 제조업 경기는 7개월 만에 확장국면으로 진입했다. 서비스업 경기도 크게 호전되었는데. 11월 비제조업(서비스업) PMI도 54.4로 전월과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는데. 미중 무역합의에 대한 기대에 자신감을 회복한 것으로 풀이되며 증시에 긍정적 영향이 기대된다.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의 매도세가 17거래일째 이어지며 이 기간 4조원 어치를 순매도하고 있는데. 11월에도 '셀 코리아'가 이어지며 4개월 연속 매도세가 지속되며 지수를 하방으로 끌어 내리고 있는 상황임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와 지소미아 관련 불확실성 그리고 홍콩 시위 등이 국내 증시에 악재 요인으로 작용했다중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의 매도세가 17거래일째 이어지며 이 기간 4조원 어치를 순매도하고 있는데. 11월에도 '셀 코리아'가 이어지며 4개월 연속 매도세가 지속되며 지수를 하방으로 끌어 내리고 있는 상황임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와 지소미아 관련 불확실성 그리고 홍콩 시위 등이 국내 증시에 악재 요인으로 작용했다국향 수출 감소폭이 둔화했고, 수출 물량이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면서 컴퓨터와 무선통신기기 등이 호조세로 돌아서는 긍정적인 지표가 나오면서 내년 회복 기대감을 키웠음. 정부는 수출 회복 근거로 반도체, 선박, 자동차, 석유제품 수급 개선과 미중 무역분쟁 완화 가능성, 기술적 반등 효과 등을 꼽았다.
왕이 중국 외교부장 방한 소식에 화장품 관련주 상승을 보였는데, 중국관련주의 상승이 기대되는바 주목이 필요하다.